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 브랜드와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of Brand Identity between Fashion Brand and Fashion Cosmetic Brand)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06
18P 미리보기
패션 브랜드와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상관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2호 / 273 ~ 290페이지
    · 저자명 : 백정현, 배수정

    초록

    패션 브랜드가 코스메틱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패션 브랜드와패션 코스메틱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는 서로 영향을주고받는 상관관계에 놓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에서 런칭한 코스메틱브랜드를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Fashion Cosmetic Brand)’라 정의하고 패션 브랜드와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의 상관성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그 상관성을종합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패션 브랜드에서 런칭한 12개 코스메틱 브랜드의 운영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이론적으로고찰한 후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내면적 의미요소, 외형적 표현요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샤넬, 크리스찬 디올, 버버리, 톰포드 뷰티는 상관성이 높은 브랜드로 지방시, 겐조키, 심플리 베라 베라 왕은 상관성이 낮은 브랜드로 나타났다.
    내면적 의미요소의 측면에서는 사넬, 버버리 뷰티, 톰 포드 뷰티, 입생로랑 뷰티가 패션 브랜드와 유사한이미지를 추구하고 있었으며 브랜드의 철학과 스토리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패션 브랜드와 의미적연관성을 느낄 수 있었다.
    외형적 표현요소 측면에서는 패션 브랜드와 패션코스메틱 브랜드가 동일한 로고를 사용할 때, 시즌 트렌드 컬러는 반영하지만 제품의 패키지나 색조 제품의 톤을 조절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에 적합한 컬러를 제시할 때, 역사적으로 꾸준히 활용되어 브랜드의상징으로 인식될 수 있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컬러를 사용할 때 상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패션브랜드와 상관성이 높은 표현요소가 담긴 패키지 디자인을 선보인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로는 샤넬, 버버리 뷰티, 캘빈 클라인 코스메틱의 사례를 제시할 수있었다. 더불어 패션 컬렉션과의 상관성이 높을수록패션 코스메틱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더욱확고히 할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측면에서는 동일한 웹사이트를 사용하거나 광고에서 메이크업, 모델, 컬렉션 의상, 시즌 컬러 등을 공유하는 경우에 패션 브랜드와 패션 코스메틱 브랜드 간에 상관성을 높일 수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As fashion brands tend to extend their business field to cosmetic market, brand identities between fashion brand and fashion cosmetic brand have a correlation that affects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 of brand identities between fashion brand and fashion cosmetic brand which is demonstrated here as cosmetic brand launched by fashion brand and to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its correlation synthetically. The growth and management aspects of twelve cosmetic brands launched by fashion brands were examined. After looking brand identity theoretically, fashion cosmetic brand ident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aspects - internal meaning element, external expression element, marketing communication element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deduced.
    The result showed that high correlation brand were Channel, Christian Dior, Burberry, and Tom ford and low correlation brand were Givenchy, Kenzoki, and Simply Vera Vera Wang. As for internal meaning element, Channel, Burberry beauty, Tom ford, and Yves Saint Laurent pursued similar image with fashion brand and their correlation on meaning were shown by expressing brand philosophy and story effectively.
    High correlation in external expression elements were shown when fashion brand and fashion cosmetic brand used the same logo, when they present suitable color to their brand image by controlling tone of package product or color cosmetic while reflecting seasonal color trend, and when using brand identity colors which were used consistently from the past so that it can be accepted as signal of its brand. Channel, Burberry beauty, and Calvin Klein cosmetic showed package designs that have high correlation of expression elements with their fashion brand. Also higher correlation with fashion collection and fashion cosmetic can assure firm brand identity.
    As for marketing communication elements, high correlation between fashion brand and fashion cosmetic brand were shown when they used same web site or shared makeup, model, collection items, and seasonal color in advertis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