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붓다와 크리슈나무르티(Krishnamurti)의 철학적 공통기반 (Philosophical common ground for both Krishnamurti's and the Buddha's teaching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2.06
31P 미리보기
붓다와 크리슈나무르티(Krishnamurti)의 철학적 공통기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17호 / 275 ~ 305페이지
    · 저자명 : 안양규

    초록

    세 가지 측면에서 붓다와 크리슈나무르티의 가르침이 공통적인 토대를 찾아 논의하였다. 첫째, 인위적인 권위를 부정하고 있다. 붓다는 마지막 유훈에서 승가라는 조직의 존속에 염려하지 말고 자신의 내면 수행에 전념할 것을 권고하면서 외적인 권위를 부정하고 있다. 크리슈나무르티도 교주에 대한 신도의 맹목적인 순종은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고 보고 있다. 자신을 인류의 스승(the World Teacher)으로 여기는 ‘동방의 별 교단(The Order of the Star in the East)’을 해산한 것은 크리슈나무르티는 인적인 권위 부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자유로운 탐구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붓다는 자신의 가르침마저도 두들겨 조사해 보듯이 개개인이 검증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자신에 대한 존경심이나 기타 이유로 붓다의 말씀을 믿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스스로 자증(自證)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크리슈나무르티는 진리 탐구의 여로에서 먼저 모든 관념과 지식에서 자유로워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특정 목표를 미리 예상하고 추구하는 것이나 과거의 지식을 짊어지고 가는 것은 참된 새로운 진리를 발견하지 못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셋째,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는 점이다. 붓다는 생각(vitakka)을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다. 세속적인 차원에서 생각은 선한 생각과 악한 생각으로 분류된다. 욕심의 생각, 성냄의 생각, 해침의 생각은 대표적인 악한 생각으로 자신과 타인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붓다는 선한 사고도 지혜의 성취를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선한 사고도 깊은 선정을 위해 사라져야한다고 본 점에서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크리슈나무르티는 사고는 기계적인 반응으로 과거의 경험과 지식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진행 중인 인간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며 오히려 사고가 사라질 때 지성(intelligence)이 나타나 사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discusses the common philosophical ground for both the teachings of Krishnamurti(1895–1986) and the Buddha's teachings. As Dr Rahula once pointed out, I contend that the Buddha and Krishnamurti have said substantially the same things. They both aim at human happiness free from sufferings caused by ignorances. I discussed four common points between the Buddha and Krishnamurti. The essence of Krishnamurti’s teachings on insight shows remarkable parallels with the crux of teachings of the Buddha.
    First, as for an authority, Krishnamurti addresses for a complete inward revolution of the mind, a new mind is not to be a slave to authority; a new mind is necessary also to discover for ourselves what is true and if there is a state of creativity beyond time. For the Buddha, the key to liberation is mental purity and correct understanding, and for this reason he rejects the notion that we can gain salvation by leaning on any external authority. Throughout his ministry he urged his disciples to “be islands to yourselves, be refuges to yourselves, without looking to any external refuge.” Second, as for the way of seek after truth, Krishnamurti says that process of enquiry is to discover truth for oneself. Most of us are second-hand people; we have lived on what we have been told, we have been compelled to accept a conditioned way of life. When the mind is utterly free from every form of authority - whether it is the authority outwardly of the church, or the priest, or doctrine, belief dogmas, rituals, or the authority of one's own experience, then the mind is in a state of constant enquiry, and therefore it is free from illusion. Since wisdom or insight is the chief instrument of enlightenment, the Buddha always asked his disciples to follow him on the basis of their own understanding, not from obedience or unquestioning trust. He invites inquirers to investigate his teaching, to examine it in the light of their own reason and intelligence, and to gain confirmation of its truth for themselves. The Dhamma is said to be personally understood by the wise, and this requires intelligence and sustained inquiry. Third, as for limitations of thought, Krishnamurti contends that thought is memory and memory is accumulated responses and so thought is always conditioned. Thought is mechanical, tied to the centre of its own knowledge. Thought is centered around the idea of ‘me’ and ‘self’. Thought builds its own prison and lives in it, whether it’s in the future or in the past. The thought, which has created the problems cannot resolve those problems that it has itself brought forth. The Buddha shows negative side of thinking; a person becomes a victim of his/her own patterns of thinking. Based on what a person papañcizes, the perceptions & categories of papañca assail him/her. The blame for suffering lies within, in the unskillful habits of thinking, rather than with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