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혼틈당선: 윤석열과 보수 재집권 분투 : <Under the Cover of Chaos>를 통해 본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면 분석 ( in South Korea, 2022 : Conjunctural Analysis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3.02
47P 미리보기
혼틈당선: 윤석열과 보수 재집권 분투 : &lt;Under the Cover of Chaos&gt;를 통해 본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1호 / 316 ~ 362페이지
    · 저자명 : 이종명

    초록

    본 연구는 그로스버그가 제안한 국면분석의 구체적 모델을 전범으로 삼아 제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의 담론 정치를 분석한다. 보다 장기적인 ‘시대(epoch)’적 맥락과, ‘진지전’, ‘문제적 공간’의 개념들을 짚으면서 추상적 진단을 넘어선다.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실천 차원의 논의로 우선 “진지천” 차원에서 정치, 경제, 문화 담론의 발화를 확인한다. 발화 주체는 홀의 <위기 관리>에서도 제안한, 정치 캠페인 수사, 언론 보도, 수용자 화답(시대적 맥락에서 독자 투고를 온라인 커뮤니티의 화답으로 대체하여)을 아우른다. 나아가 코로나19라는 국면에서 돌출된 ‘불안감’ 조장, ‘청년’, ‘젠더’ 담론에서의 ‘격리’와 ‘해체’가 “문제적 공간”에서 맥락화되는 현상을, 위기와의 접합으로 읽어낸다. 이를 통해 윤석열과 한국 보수 정치 세력의 재집권 전략을 “공정”에 대한 법과 질서 정립, “사회적 신뢰”에 대한 해체와 대체로 규정한다. 트럼프의 등장과 미국 사회의 신 보수 질서 정립이 끼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영향이 여전히 드리운 현실에서, 한국 사회의 정치적 세력 교체를 넘어 새로운 담론 질서의 등장과 대두가 부각되는 작금의 상황을 국면적으로 읽어 개입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개진한다.

    영어초록

    Under the Cover of Chaos: Trump and the Battle for the American Right(2018), Lawrence Grossberg uses conjunctural analysis to diagnose the rise of Donald Trump and the new conservative discursive order in American society. Alongside his argument for the need for political intervention at the abstract level, he proposes three analytical terrains as concrete practices of conjunctural analysis. First, reading complex contexts politically in a 'war of positions'; second, mapping the topography of constituted problems in a 'problem space'; and third, articulating with the problem space by appropriating Antonio Gramsci's 'organic crisis'. This is a practice of "conjunctural thinking" as envisioned by Stuart Hall. Specifically, "war of position" reads the discursive politics of post-war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ovements, as well as the economy and culture - particularly as they are discussed on social media. Accordingly, how "anxiety" and "hyperactivity", "isolation" and "expulsion", and "individualistic society" reminiscent of Nazism are connected in the "problem space" dimension, and how "crisis of coordination and relationships", "crisis of authority (knowledge)", and "crisis of social control" are connected in the "organic crisis" dimens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discourse politics of Korea‘s 20th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by using the specific model of conjunctural analysis proposed by Grossberg. It goes beyond abstract diagnosis by pointing to the longer-term 'epoch' context, the concepts of 'problem space', and 'war of positions'. As a critical and analytical discussion at the practical level, political speech, economic, and cultural discourse at the "war of positions" level is identified. This includes political campaign rhetoric, media coverage, and audience reaction(in the context of nowadays, replacing ’readers’ contributions‘ with ’online community responses‘), as proposed in Stuart Hall's Policing the Crisis(1978). Furthermore, it reads the phenomenon of 'anxiety' promotion, 'isolation' and 'deconstruction' in 'youth' and 'gender' discourse, which have emerged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s contextualized in 'problem space', as a conjunction with the crisis. It characterizes Yoon Suk Yeol and South Korea's conservative political résime strategies for retaking power as largely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law and order over "fairness" and the dismantling of "social trust." In a reality where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mpacts of the rise of Trump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o-conservative order in the United States are still looming, it is necessary to read and intervene as a public intellectual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 new discursive order is emerging beyond the change of political forces in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