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통합적 개념틀의 가능성 탐색 (An Exploring Study about the Integral Conceptual Framework to Disability Phenomen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1.04
27P 미리보기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통합적 개념틀의 가능성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 4권 / 1호 / 49 ~ 75페이지
    · 저자명 : 김동국

    초록

    어언 반세기를 넘는 연륜임에도, 한국 사회복지학은 사회복지문제의 해결이라는 현실사회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치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의 위기’라는 인식 하에서, 그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통합적 개념틀을 탐색하는 데 있다.
    20 세기 이후의 과학철학은, 모든 현상이 이중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 결과 지구촌의 과학철학은 분석적 패러다임에서 통합적 패러다임으로 극적인 전환을 기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복지학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분석적이었기에 사회복지 현상의 이중성을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먼저 몇 가지 차원에서 장애 현상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현상의 이중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그 이중적인 성격을 갖는 개별 현상의 구성 요소들이갖는 관계는 상보적(변증법적) 관계임을 천명하는 통합적 개념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장애는 생리적 장애, 심리적 장애, 제도적 장애 및 문화적 장애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be pointed out that Korean Social Welfare irrelevantly correspond to social welfare problems in reality, prescrieved that it's situation are 'the crisis of Korean Social Welfare and finally suggested as it's provisions a quarterly-analysis framework. All social welfare pheonomena are consisted dual polarity. For example, in the theoritical version, attribute theory/context theory; in the nature of social welfare service, need-centerd service/human right-centerd service; in the ideological basis of that services, idealism/ materialism; in the nature of social welare problems, environmental(external) problem/it's inner problem; in the practice model, individual model/social model etc. Thus, to understand these polarity innocently, we should explored welfare phenomenon integrational version. not an analytic version. Such polarity cannot be conceived of apart from one another ; the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But, up to the present, dominant views of our profession have rejected that such polarty can be viewed as a duality, but rather sees them as a dualism. That is, those polarity can and should be seperated. In distinguishing them, we can better able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 to one another. But to my viewpoint, all social welfare phenomena are, without exception, either micro or macro and also either objective or subjective. Thus the relationship of those polarity must be conceived a dialetical relationship, not a exclusive one. Thus, the most steadfast and important intention guiding my work has been to overcome the opposition between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micro and macro. Focusing on the dialetical relationship between basic phenomenon in sicial welfare, I would finally suggest the quarterly-analysis framework as follow: first, individual(micro) vs. society(macro) in the horizontal level, next, objectivism vs. subjectivism in the vertic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담론과 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