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성의 끝에서 마주한 정치적 존재의 문제 : 스트라우스의 하이데거 실존주의 해석과 새로운 존재물음의 가능성 (Encountering the Problem of Political Existence at the Limit of Modernity : Strauss’ Thoughts on Heideggerian Existentialism and a New Possibility of Questioning about Be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2.05
31P 미리보기
근대성의 끝에서 마주한 정치적 존재의 문제 : 스트라우스의 하이데거 실존주의 해석과 새로운 존재물음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28권 / 1호 / 146 ~ 176페이지
    · 저자명 : 이상원

    초록

    본 연구는 현대정치사상에서 자연권 담론과 고전 철학적 문제의식의 재조명에 영향을 미친 레오 스트라우스의 하이데거 실존주의에 대한 해석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정치적 사유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본고는 스트라우스의 하이데거 해석은 단순히 그의 실존주의가 내포한 역사주의의 한계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하이데거의 사유가 담은 철학함과 정치적 존재의 문제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기존 정치철학 연구자들은 스트라우스의 자연권 개념과 역사주의 비판에 나타난 그의 근대성 이해를 주로 조명해왔다. 그러나 그의 근대성 비판의 사유는 단순히 새로운 정치철학의 대안을 제시하기보다, 근대적 사유의 근간을 이루는 형이상학적 전제와 정치신학적 문제에서 비롯되는 근원적 존재물음을 지향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트라우스의 질문은 그의 하이데거 실존주의 해석을 통해 보다 온전히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하이데거 실존주의에 대한 스트라우스의 접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역사주의와 형이상학에 대한 그의 비판의식에만 주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이데거의 사상은 단지 역사적 맥락과 형이상학적 접근으로만 쉽게 규정되기 어려운 존재물음의 실제적 가능성 문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고는 스트라우스의 하이데거 해석이 다루는 인간적 사유(thinking)와 철학함(philosophizing)의 현실적 문제에 집중한다. 나아가 그의 해석적 사유가 철학함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정체모를 존재의 심연을 하나의 사실적 문제(factual problem)로서 신중히 접근하고자 했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스트라우스의 실존적 사유는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근대 과학기술주의와 상대주의, 그리고 신성성의 문제를 관통하는 정치적 존재의 문제성을 드러내고자 했음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Leo Strauss’ interpretation of Heideggerian existentialism searching for a new way of political thinking. I argue that Strauss’ interpretive thinking about Heidegger intends to disclose the problem of philosophizing and political existence from the radical doctrine of existentialism that generates historicism. Previous studies in the Strauss’ view of Heidegger have focused on the problem of modernity and a novel conception of natural right revealed from his critique of historicism. But Strauss’ critical thinking about modernity is not simply to suggest a new doctrine of political philosophy but to approach the deeper, existential question about the metaphysical premise and politico-theological ground of modern thinking. Thus, we can grasp Strauss’ political thoughts in a better way when carefully considering his understanding of Heidegger’s existential thinking. But Strauss’ careful approach to Heideggerian existentialism cannot be understood merely from his critique of historicism and the metaphysical limits of existentialism. For Strauss, Heidegger’s thinking contains a more significant problem of the actual possibility and limit of the ontological questioning, which cannot be fully grasped by the metaphysical indoctrination of historical context. In this light, this study illuminates the problematic possibility of philosophizing which Strauss’s interpretation of Heidegger seriously attempts to uncover. Furthermore, it shows how his interpretive thinking approaches the abyss of being as a factual problem of philosophizing. Thereby, I suggests that Strauss’ interpretive thinking of Heidegger reveals a problematic ground of political existence contained in the modern approach to scientism, relativism and the ongoing question of divi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치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