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론과 (대외)경제정책 : 문화엘리트 모델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국 언론의 정치성 (The Press and Foreign Economic Policy: Politics of U. S. Prestigious Media in the Context of Culture Elite Mode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6.10
25P 미리보기
언론과 (대외)경제정책 : 문화엘리트 모델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국 언론의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50권 / 5호 / 30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성해

    초록

    이 연구는 미국언론의 여론정치를 이해하기 위해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졌던 (대외)경제정책에 대한 보도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 엘리트 언론이 생산하는 ‘뉴스’를 ‘정치적 대중지식’으로 정의하는 한편으로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이해하기 위해 ‘문화엘리트’ 모델을 제안했다. 그리고 이 모델의 타당성을 점검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의 ‘강한달러정책’과 ‘재정적자 축소 프로그램’을 사례로 선정했다. 저자는 이에 먼저 정치적 지향점이 다른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욕타임스(NYT)와 같은 미국엘리트 언론이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변화를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살펴보고, 달러패권의 유지라는 합의된 국가이익에 있어 이들이 파이낸셜타임스(FT)와 로이터통신(Reuters)과 같은 영국언론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폈다. 이를 위해 관련 기사 120개를 긍정적, 부정적 및 중립적 태도로 나누고, 특정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동원된 ‘정보원의 전략적 선택’(sourcing), ‘특정한 시각으로 인식하기 하기’(framing) 및 ‘특정 잣대로 평가하게 하기’(priming)와 같은 기제를 분석했다. 양적 및 질적 내용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저자는 미국 엘리트 언론이 대내적으로는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특정 정책을 지지하는 한편으로 대외적으로는 대외경제정책의 성공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저자는 이를 통해 한국 언론이 보여주는 미국언론에 대한 맹목적인 의존성이 초래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국형 언론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eliciting meaning lessons for Korean news media by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 S. elite media and foreign economic policy. For this, while starting with re-defining ‘news’ as ‘political public knowledge,’ this study proposes to consider U. S. prestigious media as cultural elite. Then ‘strong dollar policy’ and ‘federal budget reduction program’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verify theoretical reliability of this model.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d how ideologically different media covered the same policy throughout regime change as well as did compare American media with U. K. media in covering nationally agreed policy. Thus total 120 analytical articles, lengthy of above 700 words, were analyzed in terms of attitudes, sources, frames and prim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U. S. prestigious media took an active part in shaping public opinion for the benefit of their primary readership while at the same time standing side by side in preserving shared national interest. In this regard, while urging Korean journalists not to follow U. S. media in a blind manner, the author hopes to initiate a dialogue about a desirable journalism model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