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라우마 증상의 명상상담적 치유: 사건의 재현(再現)을 중심으로 (Meditation Counseling Healing for Trauma Symptom: Focusing on Event Reenactmen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5.06
14P 미리보기
트라우마 증상의 명상상담적 치유: 사건의 재현(再現)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7권 / 3호 / 957 ~ 970페이지
    · 저자명 : 안환기

    초록

    트라우마 증상의 명상상담적 치유: 사건의 재현(再現)을 중심으로

    안 환 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트라우마(trauma) 증상이 재현(再現)되는 현상을 불교의 훈습(熏習)과 알라야식 연기설을 통해 고찰하고 그 명상상담적 치유 원리로서 사분설(四分說)을 논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불교 논서인 『성유식론(成唯識論)』을 분석하여 훈습, 알라야식 연기설 및 사분설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트라우마 증상의 치유과정을 분석한다.
    연구 내용: 이 연구는 불교의 훈습과 알라야식 연기설을 통해 트라우마가 심층에 ‘번뇌종자’로 저장되는 현상 및 트라우마 증상이 재현되는 과정을 밝혔다. 나아가 트라우마 증상의 치유 방안으로서 명상상담적 원리인 사분설을 고찰하고, 사분설의 원리에 따라 트라우마 증상이 재현되는 현상을 메타적으로 자각함으로써 트라우마 증상이 사라질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결론 및 제언: 명상상담의 원리인 사분설은 마음을 메타적으로 인지함으로써 트라우마를 근본적으로 치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해 트라우마를 근본적으로 치유하는 명상상담적 방법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핵심어: 트라우마, 재현, 명상상담, 사분설, 메타 인지

    영어초록

    Meditation Counseling Healing for Trauma Symptom:Focusing on Event Reenactment*

    DOI http://dx.doi.org/10.62783/SHSS.7.3.60



    Hwanki Ah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four parts of the mind, which is the healing principle of meditation counseling, by examining vāsanā and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of ālayavijñāna in the Buddhist scripture, Vijñaptimātratāsiddhi Śāstra. According to the Yogācāra Buddhism, vāsanā is the concept describing the phenomenon that all results of mind works are stored and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of ālayavijñāna is the principle by which the mind 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 interpreted the phenomenon that trauma is stored at deep mind as a ‘seed of defilement’ in terms of vāsanā and described the process by which trauma symptom is reproduced in view of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of ālayavijñāna. The second, I have shown that trauma symptom can disappear through meta-awareness of the reenactment of tha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activate meditation counseling methods that fundamentally heal trauma.


    Key Words: Trauma, Reenactment, Meditation Counseling, Four Parts of the Mind, Meta-awareness















































    □ 접수일: 2025년 6월 9일, 수정일: 2025년 6월 28일, 게재확정일: 2025년 6월 28일*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5A16082733).
    **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상담학과 학술연구교수(Professor, Nungin Univ., Email: philotibet@hanmail.n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