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에서의 빌헬름 하이트마이어 평행사회 담론과 사회적 전유 (Wilhelm Heitmeyer’s Parallel Society Discourse on the Immigrants and Its Appropriation in German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7.04
39P 미리보기
독일에서의 빌헬름 하이트마이어 평행사회 담론과 사회적 전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콘텐츠연구 / 24호 / 303 ~ 341페이지
    · 저자명 : 조관연

    초록

    1980년대까지 독일 정책 당국이나 대다수 독일인은 “손님 노동자”(Gastarbeiter)로 온 외국 노동자들이 한시적으로 거주할 것으로 생각했고, 이에 따라 외국 이주민 정책을 실시했다. 독일인 대부분은 “독일은 이민국가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굳게 믿고 싶어 했지만, 터키 출신 이주 노동자의 상당수가 경제계의 숙련 노동자 필요성과 국제 정치 질서의 혼란 등 때문에 독일에 정착했다. 독일 정부의 통합 정책 부재로 인해 이주민의 사회통합 문제가 발생했다. 빌헬름 하이트마이어(Wilhelm Heitmeyer)는 독일 사회에서 (터키계) 평행사회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이트마이어가 던진 평행사회 화두는 독일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낳았다. 이후 이루어진 학술적 실증연구는 독일 사회에 아직 평행사회가 본격적으로 형성되지 않았고, 종교적, 문화적 차이가 분리된 사회 형성에 그다지중요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연구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분리 현상원인으로 독일 사회의 제도적, 체계적 사회통합노력 실패를 지목하였으며, 이런 분리 현상 때문에 사회 분열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이트마이어의 평행사회로부터 촉발된 사회적 논의는 이주민 사회통합을위한 구체적 수단과 방법에 대해 독일의 고유한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재사유할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영어초록

    Up until the 1980s, policy authorities of Germany or the majority of the Germans thought that the foreign workers who came to Germany as “Gastarbeiters” would temporarily reside in there, and, they implemented a policy for foreign immigrants, accordingly. Most Germans would firmly believe the fact that “Germany is not an immigration state,” and a larg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from Turkey settled themselves in Germany because of the necessity of skilled laborers in the economic circles and the chaos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Because of the absence of a German government’s policy of integration, the problem of the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took place. Wilhelm Heitmeyer insisted that a (Turkish) parallel society was being formed in German society, too, and that appropriate measures would be necessary.
    The topic of parallel society that Wilhelm Heitmeyer raised made a big splash in German society. The academic empirical studies conducted subsequently showed that a parallel society had not yet been established in German society and that religious and cultural differences were not that important for the formation of separated society. These studies pointed out the failure of institutional and systematic efforts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German society as the cause for the separ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showed that social fragmentation and conflicts were deepening due to this phenomenon of separation. The social discussion stimulated from Wilhelm Heitmeyer’s parallel societ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specific ways and means of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th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Germany.
    Keyw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