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주의의 위기: 에른스트 트뢸취의 상대주의적 역사주의 (The Crisis of Historocism: A Relativist Historicism of Ernst Troeltsch)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1.06
32P 미리보기
역사주의의 위기: 에른스트 트뢸취의 상대주의적 역사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23호 / 337 ~ 368페이지
    · 저자명 : 임상우

    초록

    근대 역사학은 그 성립 이래 자신의 최고의 덕목을 엄정한 사실의 확립이라는 데 두었다. 그러나 가치와 사실의 이분법적 세계에서는 사실을 추구하면 할수록 가치의 세계는 멀어져 가는 것이고, 이에 따라 학문 세계에서는 의미의 문제를 추구하는 일이 무의미하게 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괴리의 양상을 20세기 초 독일의 종교사학자 에른스트 트뢸취(Ernst Troeltsch, 1865-1923)가 제시했던 ‘역사주의의 위기’라는 현상을 통해 검토했다.
    트뢸취는 일단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적 접근을 거부하고 인문학적 전통 속에서 역사주의를 파악했다. 역사주의의 가정에서 볼 때, 역사는 어떠한 최종 목적을 가질 수 없으며, 역사 사건 각각은 개별적 목적과 가치를 갖는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의 역사주의는 자가당착적 모순에 직면하게 된다. 개별 사실의 고유성을 강조하다 보면 그 사실 각각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고 그에 따라 가치의 상대주의 내지는 가치의 해체에 이르게 되는 것이었다. 이 점이 바로 트뢸취가 그의 서구 기독교 문명에 대한 연구에서 봉착한 딜레마였다.
    고전적 역사주의가 아직도 전통적인 인문학적 이상을 견지하고 있었는데 반해, 20세기의 인문학은 객관적 사실에 대한 역사화만을 학문의 목표로 하고 있다. 결국 이와 같은 역사주의의 위기 속에서 가치추구에서 사실추구라는 인문학의 변전이라는 계기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고, 그것이 가장 첨예하게 표출된 예를 에른스트 트뢸취의 역사주의적 세계관의 추구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ical science, its ultimate virtue had lied in finding facts. But in a world of dichotomy between value and fact, the more one pursuits the facts, the farther the values recede. Thus the pursuit of meanings in the scientific world becomes senseles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this estrangement between fact and meaning through the conception of "the crisis of historicism" raised by a German theological historian Ernst Troeltsch(1865-1923).
    Troeltsch grasped the historicism in the tradition of humanities, rejecting natural and social scientific approaches to i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ism, history itself can not possess any teleological goal but each historical event possess its own goal and value. By asserting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historical event, however, his historicism had to face a self-contradiction. To empathize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event would logically lead into a recognition of innate value of the event, and thus into a relativism of value or a de-construction of value system. This was the dilemma that Troeltsch had to face in his study of the Christian civilization of the West.
    While the classical historicism had adhered to the traditional ideal of humanities, the humanistic study of the 20th century only aims at the historicization of objective events. In the end, in the midst of this crisis of historicism, a moment of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from value-pursuit to fact-finding can be observed. And we find an extreme case of the contradiction in the historicist Weltanschauung of Ernst Troelts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