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라우마의 신학적 의미 (Theological Meanings of Traum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1.05
27P 미리보기
트라우마의 신학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4호 / 449 ~ 475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선

    초록

    본고는 목회신학 관점에서 트라우마의 신학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트라우마 이론과 신학의 접점을 찾고, 트라우마를 신학 담론으로 전개한 신학자들의 연구, 특히 제니퍼 베스트와 셸리 램보의 신학 작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희생자/생존자 관점, 깨어진 현실, 의지의 부자유, 죽음의 경험, 치유와 구속, 릴레이셔널 홈 등 여섯 가지 주제로 트라우마의 신학적 의미를 규명했다.
    베스트와 램보는 트라우마의 고유한 특성을 숙고하여 트라우마를 렌즈로 해서 신학 담론을 새롭게 발전시켰다. 베스트는 라너의 자유의지와 은총론을 수정하고 트라우마 희생자/생존자에게는 지지 관계가 하나님의 은혜를 매개한다고 주장했다면 램보는 중간 영역으로서 성토요일의 성령론을 전개하여 죽음과 삶이 공존하는 트라우마 생존자의 경험을 신학화시켰다. 베스트와 램보가 트라우마를 기초로 신학 담론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한 것은 높이 평가될 수 있지만, 목회신학 관점에서는 치유와 변화에 대한 희망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치유와 릴레이셔널 홈의 신학적 의미도 깊이 탐구하여, 치유와 구원에 대한 신학 담론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목회적 사건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 이론적인 신학 개념을 구체적이고 현장성 있게 파악할 수 있게 도울 뿐만 아니라 신학 개념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여 이론신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목회신학자의 확신이다. 하지만 목회신학은 이론적 성찰에 머물지 않고 실천—이론—실천으로 이어지는 순환을 완결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목회신학 지식은 변혁적 지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의 트라우마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 한 단계 더 나아가서 현장에서 변화를 만들어내는 실천적 지식으로 변모되기를 소망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ological meanings of psychological traum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ndeavors to present the contact points between trauma theory and theology, to review critically previous studies of theologians who develop theological discourses with recourse to trauma, particularly theological works of Jennifer Beste and Shelly Rambo, and to present theological meanings of trauma under six topics: the victims/survivors perspective, broken reality, bondage of will, experience of death, healing and redemption, and the relational home.
    With distinctive features of trauma in deep consideration, Beste and Rambo develop theological discourses on fresh ground through the lens of trauma. While Beste seeks to modify Rahner’s theology on free will and divine grace and to assert that supportive relations with others may mediate divine grace for trauma victims/survivors, Rambo unfolds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of the Holy Saturday, theologizing the experiences of the traumatized suffering from coexistence of death and life. Although it is highly valuable that Beste and Rambo advance theological discussions on the basis of trauma, the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demands more emphasis on the hope for recovery and transformation. Furthermore, theological meanings of healing and the relational home require more attention in order to bring theological discourses on healing and redemption to the fore.
    It is conviction of pastoral theologians that theological reflection of pastoral events will serve to grasp theological concepts more concretely and closely to pastoral situation, contributing to theological development by adding a new dimension to them. Yet pastoral theology should not remain within theoretical reflection but complete the cycle of practice—theory—practice. In this sense pastoral theological knowledge can be characterized as transformational. It is my earnest desire to transform theological reflection of trauma in this study into practical knowledge initiating healing and changes in the pastoral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