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호한 불안과 ‘유동하는 공포’: 무르나우와 헤어초크의 ‘노스페라투-영화’에서 살펴본 근대의 해체와 이방인의 문제 (Constant Anxiety and ‘Liquid Fear’: The Demolition of Modernity observed in Two Versions of ‘Nosferatu-Film’ by Murnau & Herzog and the Problem of Strang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모호한 불안과 ‘유동하는 공포’: 무르나우와 헤어초크의 ‘노스페라투-영화’에서 살펴본 근대의 해체와 이방인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70호 / 75 ~ 100페이지
    · 저자명 : 오은경

    초록

    21세기는 정보의 시대이자 불안의 시대이다. 우리는 모바일기기를 분신처럼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세상과 소통할 수 있지만 그 접속가능성이다시 우리를 소통에 대한 강박증에 시달리게 만드는 모순을 겪고 있다. 또한 응답받을 것에 대한 기대가 항상 충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현대인은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살아간다. 지그문트 바우만에 따르면 현대인의 강박적인 불안은 근대와 함께 성장했다. 근대의 과학기술은 자연재해나 질병 등의 많은 문제를해결해 주었으나 인류에게 불안과 공포를 완전히 없애주지는 못했으며, 인간이서로에게 갖는 악의와 적대감에서 비롯되는 불안은 여전히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불안을 안고 살아갈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그런 불안을 일으킨 당사자를 찾아내고 처벌하고 싶은 욕망’을 갖게 되었고, 불안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려는 이러한 욕구가 향한 곳은 바로 이방인과 같은 타자적 존재였다. 바로 이 ‘근대의 불안’을 분석하기 위해 이 글은 두 편의 <노스페라투> 영화를 선택했다. 우선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근대의 견고한 제도와 가치관이 무너지는 시대적 배경에서 ‘액체 근대’의 징후를 살펴보았다. 무르나우와 헤어초크 영화의 분석에서는 각각 근대의 해체 과정에서 발생한 혼란과 불안의 원인을 뱀파이어라는 이방인에서 찾고 있으며 가부장제의 완전한 해체를 통해 불확실성과 유동성이 강화되었음을 밝혔다. 근대 내부의 파열을 진단한 바우만의 이론에 근거하여본고가 두 편의 ‘노스페라투-영화’의 분석에서 확인한 것은 액체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강력해진 불안의 실체이다.

    영어초록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information and uneasiness. We may communicate with the world all times by consistently carrying mobile devices as our alter ego, but such connectivity is causing us to be obsessed with communication. However, our anticipation for a reply does not always satisfy, which is the source of the anxiety in the connected society. Zygmunt Bauman states that obsessive anxiety of contemporary people had grown with the very modernity.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modern era have solved natural disasters and diseases, but failed to eliminate insecurity and fear of people completely. In addition, anxiety underlying hostility and malice towards others still lingers and dominates us. However, as we cannot constantly live under such anxiety, we have a desire to identify and punish others who creates such anxiety. Thus, people rely on an allegorical figure as ‘the stranger’ to be entirely liberated from such anxiety. This paper chose vampires – foreigners from frontiers of Europe as an object for analysis because this monstrous being effectively embodies anxiety of modern times. In the Nosferatu-film, the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solid institutions and values of modern times is described as the process of disappearance of patriarchy and weakening belief in humanity. Based on the theory of Bauman who analyzed the inner disruption of modernity, this paper attempts to confirm the true nature of ‘anxiety’ that has become more intense as modernity undergoes liquefaction process by analyzing two versions of ‘Nosferatu-fil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