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인교판과 통편판 청⋅일 전쟁 내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Sino-Japanese War Content in Chi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People's Education Edition vs. National Unified Edi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5.05
30P 미리보기
중국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인교판과 통편판 청⋅일 전쟁 내용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40호 / 195 ~ 224페이지
    · 저자명 : 두미가

    초록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인 2007년 인민교육출판사판(이하 인교판)과 2020년 국가통일편찬판(이하 통편판)에 수록된 청⋅일 전쟁 서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역사교육의 내용 구성 변화와 그 이면에 작용하는 교육과정 및 국가 담론의 이념적 전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과서는 단순한 역사 지식 전달 도구를 넘어, 특정 시기의 교육 이념, 정치적 가치관, 그리고 국가 정체성 형성 전략이 반영되는 중요한 교육 텍스트로 기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교과서 서술의 차이를 통해 시대별 역사교육 방향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분석과 내용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비교 범주는 교육과정 기준, 단원 구성, 본문 내용, 보조 자료 및 탐구 활동 등 네 가지 측면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인교판은 2003년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사실 중심, 주제 중심 서술과 풍부한 사료 제시를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역사 탐구 능력 향상을 강조하였다. 반면, 통편판은 2020년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지향성을 반영하여, 애국주의 감성, 민족주의 서사, 국가 정체성 함양을 중심으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역사 서술을 전개하였다.
    또한 두 교과서는 동일한 역사 사건인 청⋅일 전쟁을 전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인교판은 국제 정세 및 세계사 속의 중국이라는 거시적 맥락을 강조하는 반면, 통편판은 내우외환과 구망도존이라는 민족 위기 극복 서사를 중심으로 교육 목표를 구체화하였다. 보조 자료의 활용에서도 인교판은 다양한 사료, 지도, 탐구 활동 등을 통해 학생의 사료 해석 능력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나, 통편판은 본문 서술의 집중도와 통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보조 자료를 축소하여 핵심 역사 흐름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교과서 내용 구성, 교육과정 기준, 국가 담론이라는 세 요소 간의 연계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교과서 비교 연구를 넘어선 이론적 기여를 시도하였다. 이는 중국 역사교육의 이념적 전환을 입증하는 사례일 뿐 아니라, 향후 실제 수업 현장에서 이러한 서술 전략이 학습자의 역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동아시아 3국(한⋅중⋅일)의 교과서 비교 연구를 통해 국제적 역사교육 담론과 국가 정체성 형성의 상관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the First Sino-Japanese War is presented in two major Chi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2017 edition published by the People's Education Press (PEP) and the 2020 National Unified Textbook (NUT). The aim is to uncover the ideological transitions in China's histo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textbooks' content structure, curriculum basis, and narrative orient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books extend beyond surface-level descriptions to reflect broader shifts in educational philosophy, national discourse,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PEP edition, based on the 2003 curriculum standard, emphasizes factual knowledge, a topic-centered structure, and the use of diverse historical sources to encourage critical thinking and historical inquiry. In contrast, the NUT, compiled under the 2020 revised curriculum, prioritizes core competencies, patriotic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national identity, with a strong focus on causality and national resilience in its historical narrative.
    The structural differences also appear in how the war's background,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are framed. While the PEP edition offers a multi-perspective, globally contextualized account of the war, the NUT presents a more centralized, nationalistic storyline emphasizing moral lessons and ideological values.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upplementary materials-such as historical sources, maps, and inquiry activities-highlight the shift from student-centered inquiry toward integrated narrative comprehension.
    This study contributes a new perspectiv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linkage between textbook content, curriculum reforms, and national discourse. It serves as a foundation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on how such narratives influence student perceptions in classroom settings. Moreover, it suggests the need for broader comparative studies among East Asian countries to further examine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in shaping collective memory and national identity within international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