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문헌에 나타난 한류 관련 자료 톤과 프레임의 통시적 변화;2000∼2014년 중국 신문과 정기간행물 제목 분석 (A Diachronic Analysis of Tones and Frames of Hallyu Discourse in China;Title analysis of Chinese Newspapers and Academic publication between 2000-2014)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6.12
40P 미리보기
중국 문헌에 나타난 한류 관련 자료 톤과 프레임의 통시적 변화;2000∼2014년 중국 신문과 정기간행물 제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7권 / 4호 / 87 ~ 126페이지
    · 저자명 : 손승혜, 이귀옥, 강필임

    초록

    이 연구는 지난 15년 동안 한류에 관해 중국에서 발표된 정기간행물 자료와 신문 기사중 중국 내 공식 문헌 정보 검색 자료원인 cnki.net에 등재된 자료를 표집해 연도별 빈도와 특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중국은 한류의 형성과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해왔으며, 향후 한류의 확장에 따른 수용국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국 한류 연구의 양적·질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 사회 전체의한류 수용에 관한 통시적 의미의 분석은 여전히 부족하다. 수집된 총 1203개의 문헌 자료의 제목을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한류 관련 문헌은 2000년대중반과 2014년에 가장 높은 빈도로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콘텐츠 및 관련 산업 분야, 제목의 톤과 프레임 분석 결과는 중국 내 한류 관련 자료가 신문과 학술 자료라는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그 특성은 시기별로 변화하는 추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의 문화 정책과 미디어 환경 변화, 특정 한류 콘텐츠의 진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아왔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 분석을 통해중국 사회가 한류를 어떻게 수용하고, 한류를 통해 중국 대중문화가 어떠한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어떠한 정책적·경제적·사회적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지 맥락을 고려한 통시적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in the titles of major newspapers and academic publications on Hallyu(Korean Wave) published in China between 2000 and 2014. The data, retrieved from the Chinese official archive, cnki.net, showed the changing patterns in terms of volume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beginning, China has had a formidable impact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Hallyu and been the most significant research site in its understanding from both cultural and economic perspectives. However, in spite of the advances in Hallyu research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 diachronic analysis of Hallyu reception in the Chinese society in general is scarce. This research analyzed the titles of 1,203 newspapers articles and academic publications. Hallyu was first introduced in 2000 and had the highest interest given in 2003–2006 and 2014.
    At the early stage of Hallyu, ‘electronics industries’, ‘music’ and ‘movie’ received relatively high attention, then the interest expanded to ‘drama’ and ‘fashion/cosmetics’ industries. Frames of titles also moved from ‘economics’ and ‘comparisons/competition’ to ‘culture’ and ‘diplomacy/exchange’. Since 2010, when China started to use Hallyu as a policy model for its cultural industries, ‘policy’ frames have become a major frame of the Hallyu discourses.
    ‘Negative/criticism’ tone was observed most often between 2004 and 2006,which coincides with the popularity of specific Hallyu content and changes in the Chinese media environment as well as the Chinese cultural policies. While academic publications remain in mostly ‘neutral’ tone, newspapers show relatively more ‘negative/criticism’ ton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llustrate how the Chinese society in general receive the Hallyu content and what directions the Chinese popular culture pursues in economic, social and policy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