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지피복도를 통한 녹지의 공간변화 및 정책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Green Space Change and Policy analysis through Time Series Changes in Land Cover -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4.06
11P 미리보기
토지피복도를 통한 녹지의 공간변화 및 정책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휴양및경관연구 / 18권 / 2호 / 35 ~ 45페이지
    · 저자명 : 권호중, 이시영

    초록

    본 연구는 대상지 내 녹지의 변화상을 GIS를 활용하여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병행하여 연대순 녹지정책과 예산투입현황을 비교분석하여 녹지정책의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GIS분석을 통한 토지피복 변화량 분석을 통해 대전시 녹지변화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대전시 녹지정책 방향을 조사,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녹지변화 특성과 대전시 정책방향 분석을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써 첫째, 대전시의 녹지면적은 1989년도에서 1998년도에는 서구와 대덕구를 제외한 구에서 녹지의 면적 증가량이 많아 전체적인 녹지면적이 증가하였고 1998년도에서 2009년도에는 동구와 대덕구를 제외한 구에서 녹지의 면적 증가량이 많아 전체적인 녹지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2009년도에서 2020년도에는 5개 구 모두 녹지가 감소하여 전체적인 녹지 또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녹지정책과 예산을 보면 전반적으로 예산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7년부터는 전년 대비 예산이 2배 정도 증액되어 투입되었으며, 2010년 대비 2020년에는 345%나 증가하였다. 각 구별로는 2010년에는 유성구>대덕구>동구>서구>중구로 예산이 많았으나 2020년에는 유성구>대덕구>서구>동구>중구순이었다. 정책 또한 유성구, 서구, 동구, 중구, 대덕구 순으로 많은 정책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분석 결과 유성구는 가장 많은 정책과 그에 따른 많은 예산을 썼으나 녹지의 감소 면적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상반되게 대덕구는 가장 적은 정책과 세 번째로 적은 예산을 썼지만 녹지면적 변화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시사점으로서 공원녹지의 기본바탕이 되는 녹지량은 시가지 확장과 개발계획의 논리하에 지속해서 감소하여 가고 있다. 공원녹지의 새로운 흐름에 맞추어 양적 확충에서 벗어나 질적인 측면에서 과감한 녹지정책의 발굴 및 예산의 확보를 통하여 시민들의 요구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green space in the target area in a time-series manner using GIS, and in parallel, compares and analyzes chronological green space policy and budget investment status to derive suggestions for green space policy. In this study, first,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change in Daejeon by analyzing land cover change through GIS analysis. Second,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Daejeon City's green space policy. Third, we would like to draw a conclu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nalyzed green space change characteristics and Daejeon City's policy direc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green space area in Daejeon increased from 1989 to 1998, with a large increase in green space in districts excluding Seo-gu and Daedeok-gu, and from 1998 to 2009, green space increased in districts except Dong-gu and Daedeok-gu. The overall green space increased due to the large increase in area. However, from 2009 to 2020, green space decreased in all five districts, showing that the overall green space also decreased. Second, looking at green space policies and budgets, the overall budget is on the rise. Starting in 2017, the budget was doubl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increased by 345% in 2020 compared to 2010. By category, in 2010, the budget was Yuseong-gu > Daedeok-gu > Dong-gu > Seo-gu > Jung-gu, but in 2020, the budget was Yuseong-gu > Daedeok-gu > Seo-gu > Dong-gu > Jung-gu. In particular. Many policies were also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order: Yuseong-gu, Seo-gu, Dong-gu, Jung-gu, and Daedeok-gu.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Yuseong-gu spent the most policies and the largest budget, but showed the largest decrease in green space area. In contrast, Daedeok-gu used the fewest policies and the third-lowest budget, but showed the largest change in green space area. appeared less. As an implication, the amount of green space, which is the basis of park green space, is continuously decreasing under the logic of urban expansion and development plans. In line with the new trend of park green space, efforts are required to move away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develop bold green space policies and secure budgets in qualitative term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citizens' needs and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