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카르트의 코기토, 그 너머: 김구용 시론에서의 폴 발레리 시론의 전유 (Descartes's Cogito, and Beyo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2.08
46P 미리보기
데카르트의 코기토, 그 너머: 김구용 시론에서의 폴 발레리 시론의 전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71호 / 9 ~ 54페이지
    · 저자명 : 오주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폴 발레리의 시론과 김구용의 시론을 데카르트의 코기토의 관점에서 비교·연구함으로써 그 전유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I부에서는 데카르트의 코기토로 명명되는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진리명제를 둘러싼 그의 사상의 전반적 맥락을 『방법서설』, 『성찰』, 그리고 『정념론』을 통해 제시하였다. II부에서는 발레리의 시론 「데카르트에 대한 단상」,과 「데카르트」에서 데카르트가 발레리에게 자기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도록 하였으며, 그것은 「자아」 「자아, 작가」 그리고 「자아와 개성」 등 자아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음이 논의되었다. III부에서는 김구용의 시론 「나의 문학수업」, 「눈은 자아의 창이다」에서 그가 자아에 대한 탐구를 통한 자기 세계의 창조를 하는 태도가 데카르트의 코기토와의 연관성 아래서 논의되었다. 그렇지만, 시론 「눈은 자아의 창이다」와 「환상」에서는 현대의 비극을 체험한 김구용이 정신과 육체의 총화라는 문제와 미지의 자아라는 문제를 고뇌하고 있었다. 그것은 김구용이 데카르트의 코기토, 그리고 그 너머를 모색해 가는 도정이었다. 결론적으로 데카르트의 코기토, 즉,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진리명제는 근본적으로 시인이 자신의 내면의 진실을 고백하는 장르인 시의 본질과 상통했다. 데카르트의 코기토가 표명하는 정신주의와 자아에 대한 탐구는 이상적 시를 추구하는 발레리와 김구용의 시론 모두에 삼투되어 있었다. 나아가 그들은 자신의 내면에서 자아에 맞서는 자아를 응시함으로써 데카르트의 코기토, 그 너머를 모색해 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aspect of appropriation by comparing and studying Paul Valéry's poetics and Gu-yong Kim's po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Descartes' Cogito. In Part I, the overall context of his thought surrounding the truth proposition, Descartes' Cogito "I think. Therefore I am" was presented through Introduction to Method, Reflection, and On Passions. In Part II, in Valéry's poetics "Fragments on Descartes" and "Descartes", Descartes made Valéry to listen to her own inner voice, which includes "Ego", "Ego, Writer" and "Ego and Individuality". It was discussed that it led to the search for the self. In Part III, through Gu-Yong Kim's poetics "My Literature Lesson" and "Eyes are the window to the self", the attitude of creating one's own world through self-exploration was discussed under the connection with Descartes' Cogito. However, in the poetics “Eyes are the window to the self” and “Fantasy”, Gu-yong Kim who experienced a modern tragedy, struggled with the problem of the totality of mind and body and the problem of the unknown self. It was the path that Gu-Yong Kim pursued to explore Descartes' Cogito and beyond. In conclusion, Descartes' cogito, that is, "I think. Therefore I am.”, the truth proposition fundamentally coincided with the essence of poetry, a genre in which poets confess their inner truth. Descartes' spiritualism and exploration of the self expressed by Cogito permeated both the poetics of Valéry and Gu-yong Kim, who pursued an ideal poetry. Furthermore, they were exploring Descartes' cogito and beyond by gazing at the ego against the ego within themsel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