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억의 토포스, 존재의 아토포스 - 독일 토포필리아와 전혜린의 글쓰기 - (A Study on Topophilia towards Germany in Jeon Hyerin’s Writ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6.10
26P 미리보기
기억의 토포스, 존재의 아토포스 - 독일 토포필리아와 전혜린의 글쓰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2호 / 459 ~ 484페이지
    · 저자명 : 임정연

    초록

    이 글은 전혜린의 글쓰기에 나타난 독일 토포필리아의 양상에 주목해 독일이라는 장소와 장소기억이 전혜린이라는 개인이 세계 내에서 자신의 존재 좌표를 설정하는 데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혜린의 글쓰기가 지니는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뮌헨 ‘슈바빙’이라는 장소는 전혜린의 기억과 글쓰기의 근원적인 토포스(topos)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전혜린의 글쓰기는 슈바빙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슈바빙으로부터의 말하기, 슈바빙이 가능하게 했던 실존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전혜린의 독일행이 내면에 자리잡은 실향(失鄕)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때, 슈바빙은 ‘먼 데에 대한 그리움’이 구현된 장소로서 존재의 토포스로 기능한다. 그곳에서 전혜린은 반속물주의를 지향하는 ‘대학생’에게서 ‘슈바빙적인 것’과 슈바빙의 정신을 발견하고, 자아의 이념형(Idea-blid)으로 동일시한다.
    그러나 ‘귀향’이 불가능성을 전제로 고향을 찾아가는 행위라 할 때 어떤 장소에서도 존재의 완전한 정주는 불가능하다. 전혜린의 글에서 발견되는 일상에 대한 낯설음, 권태와 광기, 반항과 방황 등은 바로 이 같은 고향 상실의 징후들로서, 이 상실감은 근본적으로 자기와 참 자기 사이의 실존적 거리감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전혜린은 기억 속에서 슈바빙을 끊임없이 소환함으로써 ‘슈바빙적인 것’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면서 존재 망각에 저항하고자 했다. 전혜린의 글쓰기는 권태와 상실에 대항해 자신의 실존적 고향(topos)을 재탈환하려는 분투의 흔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혜린의 독일행은 고향을 찾아나서는 근원적 충동의 여로였고, 독일이라는 장소를 소환하는 글쓰기는 자아의 동일성을 회복하려는 ‘귀향’의 글쓰기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of German topophilia in Jeon, hyerin’s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lace, German, and Jeon, hyerin.
    Jeon, hyerin’s writing is a text to remember the place, ‘Schwabing’ of Munich, Germany. In her writing, Schwabing makes the fundamental topos of every memory. Her studying in Germany was driven with the consciousness of loss of hometown, which is ‘longing for a distant place’, accordingly, Schwabing was a place where German word ‘Fernweh’ was realized. She discovers the spirit of Schwabing in Munich University students’ anti-snobbery, identifying as an ideal type of the self.
    However, simultaneously, Jeon, hyerin’s writing expresses the symptoms of loss of hometown such as unfamiliarity to daily lifew, weariness and madness, disobedience and wandering, etc. This sense of loss is generated from existential distance between the self and true self. Jeon, hyerin intended to resist the existence forgetting and sense of loss by remembering and recording Schwabing.
    Therefore, Jeon, hyerin’s writing is a trace of a struggle to retake her existential hometown(topos) by resisting weariness and loss. That is, Jeon, hyerin’s depart for Germany was a journey of fundamental impulse to search her hometown, and her writing was that of ‘going home’ to fill hunger of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