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 광고 <The Beauty Inside>(2012)와 영화 <뷰티 인사이드> (The Beauty Inside, 2015)를 중심으로 (A Semiotic Approach to Crossmedia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Advertisement The Beauty Inside(2012) and the Film The Beauty Inside(2015))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4.08
55P 미리보기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 광고 &lt;The Beauty Inside&gt;(2012)와 영화 &lt;뷰티 인사이드&gt; (The Beauty Inside, 2015)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77권 / 195 ~ 249페이지
    · 저자명 : 조은진

    초록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즉 원작 각색 스토리텔링은 다매체 시대를 맞아 폭발적으 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원작 각색이라는 오래된 역사 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 비해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른 매체 환경의 변화가 더 많은 원작 각색의 기회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시급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창작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원작에서 각색작으로 ‘무엇을’, ‘어떻게’, ‘왜’ 변화시켰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원작 광고 <The Beauty Inside>(2012)와 각색작 영화 <뷰티 인사이드>(The Beauty Inside, 2015)를 연구 대상으로 살펴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창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고찰 함에 있어서 의미의 생산과 해석 과정을 상세하게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었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분석에 대한 기호학적 논의들과 영상의 분석에 있어 내용을 파악할 때 살펴볼 수 있었 던 지식과 믿음의 양태성과 관련된 논의들은 표현과 내용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방법 의 적용에 있어 다양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광고 <The Beauty Inside>(2012)는 브랜디드 콘텐츠의 성공작 이자 이것의 제작 배경이 된 인텔 인사이드(Intel Inside) 광고 캠페인과 관련해서도 유 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The Beauty Inside>(2012)와 영화 <뷰티 인사이드>(The Beauty Inside, 2015)의 크 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즉 원작 각색 스토리텔링에 있어서도 좋은 사례가 된다는 점 에서 연구의 성과가 있다.

    영어초록

    Crossmedia storytelling, particularly the adaptation of original works, has seen an explosive rise in demand with the advent of the multi-media age. Crossmedia storytelling, while rooted in a long-standing tradition of adapting original works, has historically garnered relatively limited attention. However, the evolving media landscape, distinct from previous eras, is generating increased opportunities for original adaptations, making it imperative to engage in timely discussions. Additionally, the scarcity of discourse that offers practical support for the creative process highlights the pressing need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original to the adapted text by employing a semiotic approach to crossmedia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questions of what was changed, how these changes were implemented, and why they occurred.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original advertisement The Beauty Inside (2012) and its adapted film version The Beauty Inside (2015) as the primary subjects of examin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generating and interpreting signification during the changes that occur throughout the creation of crossmedia storytelling. The semiotic discussions on brand communication and brand identity explored during this process, along with the analysis of modality related to knowledge and belief in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content,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a semiotic approach in analyzing both expression and content.
    The advertisement The Beauty Inside (2012), analyzed in this study, is a notable example of successful branded content and hold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tel Inside advertising campaign, which served as its production backdrop. In this context, the study can offer valuable foundational data related to these connections. The study’s significance is further underscored by the fact that both the The Beauty Inside (2012) advertisement and the The Beauty Inside (2015) film serve as exemplary cases of crossmedia storytelling, particularly in the adaptation of original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