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사이언스 픽션 영화의 기호학적 읽기 : <터미네이터>의 테크놀로지에 관한 시각적 재현을 중심으로 (semiotic approach to the Contemporary Sciencd Fiction film)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5.09
23P 미리보기
현대 사이언스 픽션 영화의 기호학적 읽기 : &lt;터미네이터&gt;의 테크놀로지에 관한 시각적 재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44권 / 203 ~ 225페이지
    · 저자명 : 이수진

    초록

    이 글은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현대 사이언스 픽션 영화가 과학기술을 어떻게 재현하는지에 주목하는 연구로서, 첫째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정의와 기호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둘째 컴퓨터 그래픽스 이미지 기술과 특수 기법을 기반으로 재현된 기계machine 이미지의 외연과 내포된 함의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이 글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사이언스 픽션이 장르만의 고유한 독서 법칙을 내재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과학기술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것들을 규정하는 ‘노븜novum’, ‘부재 계열체absent paradigm’ 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추측 읽기lecture conjecturelle’를 설명한다. 2장에서는 사이언스 픽션에서 제시하는 것들이 새롭고 낯설기는 하지만 이미지와 사운드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만큼은 사실주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너무나 현실같은 세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점에 주목하여, 특수 기법 및 스펙터클한 도상적 효과의 내재적 의미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대한 메타담론으로서의 기호학을 정의하고, 이때 주된 분석 텍스트로 인간을 닮은 로봇, 안드로이드와 시간 여행 모티브를 중심으로 30여년 동안 지속되어 온 <터미네이터> 시리즈 중 2편을 중심으로 기계 재현 양상에 대한 추측 읽기를 시도한다. 결론적으로는 현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읽기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테크노포비아와 테크노판타지라는 관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udy of contemporary science fiction films based on the digital images. First, we look at the need for semiotic approach to science fiction genre and a definition of semiotics about the SF. Secondly, we want to trace the connotation by analyzing machine images created by computer graphics image technology and special effects.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In Chapter 1, we define concepts such as ‘novum’ and ‘absent paradigm’ that explain new things created by high technology in science fiction. And we try to understand a process of ‘conjectural reading’, proposed by a french semiotician Marc Angenot. In Chapter 2, we are interested on the iconography and visual signes of the science fiction that create a spectacular scene. In Chapter 3, we define semiotics studies as a meta-discourse of science fiction films. In this part, we analyse the representation of the main robot which has a human figure, in other words, Android, in the film Terminator 2 : Judgment Day (1991). Generally denotative signifiers in the narrative context lead us to observe and analyze the connotative meaning. So we can find a signification such as a ‘metamorphose’, ‘enhancement’ and ‘immortality’. In conclusion, we try to explain the necessity of a semiotic reading of the contemporary science fiction film in relation to Technophobia and Technofantas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