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현기의 '비디오톨탑'에 대한 재고 - 작가의 유고(遺稿)를 중심으로 - (Reconcideration about Park, Hyun-Ki's video tetem pole - Focused on the Posthumous Papers of the Artist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1.02
12P 미리보기
박현기의 '비디오톨탑'에 대한 재고 - 작가의 유고(遺稿)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2권 / 1호 / 447 ~ 458페이지
    · 저자명 : 이원곤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비디오아티스트 박현기의 대표작 '비디오돌탑'시리즈 작업의 제작/탄생의 정신적 배경을 새로운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결과들에 대한 요약과 함께, 작가의 사후에 발견된 제작노트에 드러난 제작의도를 비교분석함으로서 비디오돌탑의 탄생과정의 재구성 및 배경을 분석/재조명한 것이다.
    박현기의 '비디오돌탑'작업에 대해 국내외의 평론가들은 대체로 '한국에서 자생적 탄생한 비디오아트'라는 점과 비디오토템, 한국적 미니멀리즘, 모노하의 영향 등으로 요약되는 평가를 내린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 발견된 작가의 제작노트를 보면, 작가 본인은 이와 같은 기존의 평에 대해 상당부분 이의를 제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작업이 70년대 한국적 모더니즘의 환경에서 도출될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유년시절 이래의 문화적 경험과 한국적 정신문화의 원초적 근원에 대한 갈망과 탐색의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작가의 생업이었던 건축가로서의 입장에서 접근한 시각과 구축적 공간의 특성도 비디오돌탑의 이해를 위해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결론적으로 박현기의 비디오돌탑은 서구문명의 그늘아래 고사해 가던 한국의 정신문화를 소생시키고자 했던 그의 노력과 또 비디오와 같은 서구의 테크놀러지에 대한 동경과 반성이 교차하면서 만들어낸 토템폴- 실제와 가상, 원시의 영적체험과 첨단테크놀러지에 의해 가능해지 가상성에의 접근 등 대립되는 두 세계의 실상의 반영이 교차하면서 구축된 설치물이라고 평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quire into the origin and spiritual background of Park, Hyun-Ki's (so called) 'video stone tower works' in late 1970'. About this works, there are so many interpretation through essay and thesis from Korea, Japan and western society scholars that can be abbreviated to "poetic dialectic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archaic and futuristic", 'Mono-ha like totem pole', 'korean minimal art' and so on...
    By the way, in recently founded posthumous a manuscript written in his own hand, we can confirm that he strongly insist his work is not the result of 'mono-ha school' or '1970's korean modernism' but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traditional and spiritual world, and established through the long terms asceticism, for example, return to his hometown Daegu, explor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and encounter with hi-technology, video.
    And on the other hand, the aesthetic conception and visual principle of his video installation is constructivism or immaterial structure through the real & virtual, actual & refl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