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The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Sarira reliquary of Mireuksa temple sit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7.08
32P 미리보기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7호 / 119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낙중

    초록

    이 글에서는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의 특징과 그것이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가지는 의미를 익산이라는 공간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7세기 전반대의 절대연대를 가진 일괄유물은 웅진․사비기 백제 금속공예품의 편년과 변천 과정을 추정하는 데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금속공예품 중에서 은제관식은 형태에서도 변화를 보이지만 그 의미도 달라진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사리봉영기의 명문으로 미륵사 조영 주체에 대한 논의가 가람배치와 맞물려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三院 병렬식 가람에 대한 기획은 한 번에 이루어졌을 것이나 대지 조성층, 탑의 지하기초부 등에서 출토되는 창건 기와를 통해 토목 및 건축공사는 시차를 두고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미륵사지 사리기는 주변 유적, 특히 왕궁리 5층 석탑과 그곳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의 연대 추정과 제석사 목탑과 왕궁리 5층 석탑 사리장엄구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건물의 지하기초부에 흙과 함께 돌을 사용하는 방식은 사비에서는 보이지 않는 익산만의 특징으로 이러한 토목기술은 7세기에 신라와 교류하며 새롭게 받아들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지금까지 백제 암막새의 존재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하지만, 사리기 문양과의 유사성, 제석사지 암막새의 존재, 그리고 출토맥락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미륵사지에서도 백제 암막새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륵사지 서탑 사리기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논쟁의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고고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륵사지에 대한 기존 조사의 종합 및 분석으로 미진한 부문을 추출하여 그에 대한 보완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rira reliquary excavated from the Stone Pagoda at Mireuksa(彌勒寺) temple site and their significance in Baekje(百濟) archaeological study.
    The collective artifacts dating from 639 years provided the basis for changes and chronology of the Baekje Metalwork. Among these metal artifacts, silver headdress had changed in form, and its meaning had also changed.
    There is a complicated discussion about the main constructor of Mireuksa temple. The planning of Mireuksa construction would have been done for the whole. However,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works carried out sequentially. This can be guessed through the founding tiles excavated from the foundation layer, the underground foundation of the building.
    The relic casket of Mireuksa provided new clues about the relics of the surrounding relics, especially the stone pagoda at Wanggungri(王宮里) and the Buddhist relic deposits excavated from the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relic deposits from the pagoda of Jeseoksa(帝釋寺) and Wanggungri.
    The way to use stone to create an underground foundation is characteristic of Iksan(益山), which is not seen in Sabi(泗泌). It is possible that these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were newly accepted by exchanging with Silla in the 7th century.
    Up to now, negative views on the existence of concave eave-end roof tile in Baekje(百濟) are predominant. However, similarity with the pattern of relic casket, existence of the concave eave-end roof tile of Baekje at Jeseoksa temple site, and the review on the context of the excavation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that the Baekje concave eave-end roof tile was used in Mireuksa temple in the Baekje period.
    Although the Buddhist relic deposits of Mireuksa has solved many problems, there is still room for controvers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rchaeologically,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 unsatisfied sec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Mireuksaji and conduct excavation and investigations o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