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엽의 <석가탑>과 현진건의 『무영탑』 비교 연구 ― ‘비어 있음’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Shin Dong-yeop’s Seoggatap and Hyun Jin-geon’s Muyeongtap: focusing on the image of emptines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02
25P 미리보기
신동엽의 &lt;석가탑&gt;과 현진건의 『무영탑』 비교 연구 ― ‘비어 있음’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77호 / 59 ~ 83페이지
    · 저자명 : 이대성

    초록

    이 논문에서는 오페레타 <석가탑>의 의미를 『무영탑』과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이미지로서 살펴본다. 신동엽은 생전에 대본을 공개하지 않았고, 팸플릿이나 등사본 어디에도 『무영탑』을 차용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 따라서 차용 여부와 상관없이 『무영탑』과 함께 「석가탑」이 독서되지 않으면, <석가탑>은 단지 학교 예술행사 중 비교적 나은 공연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텍스트적 구별의 표면을 발견하고, 선택된 장면들이 바라보이는 한에서, 극 중 인물들이 바라보고, 존중하는 무언가를 독자도 이미지로서 바라보고 숙고할 수 있다. 「석가탑」은 제4경에 이르기까지 시야에 보이지 않는 하늘의 성역을 바라보는 시선 그 자체로서 눈동자 이미지를 전경화하고, 제5경부터는 죽은 아사녀의 빈 자리가 드러나도록 땅 위에 열리는 무덤 이미지를 전경화한다. <석가탑> 공연은 독자-관객에게 비어 있는 구멍으로 구별되는 눈동자 이미지를 바라보게 하면서, 불국사 설화에서부터 『무영탑』에 이르기까지 희생의 의미체계 내부에 오직 비어 있음으로 남아 있는 무덤 이미지를 존중하게 한다. 이 오페레타는 평범한 사람들이 종교, 민족, 오락 등의 의미체계로부터 벗어나는 가벼움을 경험하게 하며, 자기가 붙잡고 있던 의미들을 기꺼이 포기하고 비워짐의 세계로 이행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operetta Seoggatap as an image revealed in relation to Muyeongtap. Shin Dong-yeop did not make public his script nor did he disclose the fact that he borrowed "Muyeongtap" from any pamphlet or mimeographed version in his lifetime. Therefore, it is not clear whether it is actually borrowed. If the fact that he borrowed Muyeongtap is clearly discolsed, Shin’s Seoggatap can only be seen in relatively good performances among school arts events unless Seoggatap is read together with Muyeongtap. Readers can regard and think of something as an image, that the characters in the play regard and respect, only when surface of textual distinction is found and selected pictures are regarded with the readers’ eyes. Seoggatap foregrounds the image of the pupil as a sight to see the invisible heavenly sanctuary by itself until the 4th landscape. It foregrounds the image of grave opening on the ground, leading the readers to see the empty seat for the dead Asanyeo from the 5th landscape. Seoggatap performance allows readers and audience to see an image of the pupil perceived as an empty hole. At the same time, it allows them to respect the image of the grave that remains empty within the meaning system of the sacrifice from Bulguksa Temple Folktale to Muyeongtap. This operetta allows ordinary people to experience lightness from the semantics of religion, ethnicity, entertainment, and encourages them to willingly give up the meaning they had and to move on to a world of empt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