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1955-1974년 성인기 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Complex Process of Post-Modernity of Life Course and Dual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and Familization: Focused on the Sequence Analysis of Transition to Adulthood of 1955-1974 Birth Cohort)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4.04
40P 미리보기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1955-1974년 성인기 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8권 / 2호 / 67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순미

    초록

    이 연구는 생애과정 접근으로 가족과 젠더라는 근대성의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개인화 현상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의 생애과정 구조변화를 탈성별화와 계층화의 이중적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를 ʻ생애과정의 탈근대화ʼ로 개념화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노동패널 1차~12차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1955-1974년생들을 출생코호트별로 구분하여 15-36세까지의 성인기 이행 연령 구조 및 배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고학력 남성을 중심으로 한 근대성의 지속과 여성들의 탈근대적 생애과정이 혼재되어 있는 ʻ복합적 탈근대화ʼ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새로운 생애과정의 등장이라 할 만한 변화는 여성들에서만 존재하였고 남성들의 생애과정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이것이 여성의 탈성별화 경향과 남성의 부양자 경로 지속이라는 변화의 ʻ방향ʼ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 때문에 상당기간 동안은 여성들이 가족책임을 전담하는 구조가 지속될 것이나 이때의 가족책임은 노동을 통한 독립성의 추구와 같이 가기 때문에 ʻ가족화를 동반한 개인화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저학력 집단을 중심으로 ʻ가족화를 동반한 개인화ʼ의 위험의 측면이 부각되는데, 교육과 취업에서의 동등 성취 경향으로 저학력 남성은 파트너십 형성이 어려워지고(위험의 개인화), 저학력 여성은 독립적 삶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다시금 가족에 의지하게 되는 모순적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강제된 가족화). 이때의 위험은 전자에서는 연대의 부재, 후자에서는 개인의 부재이다. 반면 고학력 남성의 가족 이행은 개인화의 차원보다는 근대적 의미에서의 가족화의 연장선에 놓인 것이었다. 따라서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는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some features of Korean individualiz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racing the change of modernity such as family and gender through approach of Life-Course perspective. To this end, I suggest recent structural changes of life course as dual processes of de-gendering and stratification and then conceptualized such changes into post-modernity of life course. For analysis, I used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the age structure and sequence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of people aged from 15 to 36 by classifying people born in 1955 to 1974 into birth cohor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mplex process of post-modernity was found, which concurrently contains modern life course of men and post-modern life course of women. New patterns of life course is founded in women, but not man. Moreover, such gender difference was found to contain issues related to de-gendering of women and the direction of changes, which are the continuance of male-breadwinner norm of men. Based on such outcomes, women are expected to fully take responsibility for family affairs for long time, but women with high educational level will seek labor life course encompassing family because family responsibility goes with the seeking of independence through labor. This can be called as ʻindividualization accompanying with familizationʼ, However, risks can be posed in the individualization accompanying with familization among the group with low educational level. Men with low educational level face with the difference in forming partnership due to the equal achievement in education and job(individualization of risk), while women with low educational level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independent life and have tendency to rely on their family(coerced familization). In this regard, the risk in the former situation is the lack of solidarity and that in the latter is the lack of individualism. Whereas family-formation transition of high educational men was left familization, which has continuace of modernty rather than individualization. Therefore complex process post-modernity is experienced by dual process of fami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