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문화적 역학 - 호머 헐버트의 <마법사 엄지>(1925)에 나타난 한국 민담의 혼종적 변용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 Cultural Dynamics in Homer Hulbert’s Hybrid Adaptation of Korean Folktales in (1925))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5.04
44P 미리보기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문화적 역학 - 호머 헐버트의 &lt;마법사 엄지&gt;(1925)에 나타난 한국 민담의 혼종적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3권 / 1호 / 99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유정

    초록

    본 연구는 호머 헐버트의 마법사 엄지(1925)에 나타난 문화적 혼종성을 다층적으로 분석한다. 베누티의 이국화/자국화 이론과 아파두라이의 탈영토화/재영토화 개념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이 작품에서 한국 민담이 어떻게 변형되고 재해석되는지 서사 구조, 캐릭터 변용, 시각적 재현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고찰한다. 연구 결과, 텍스트 차원에서는 한국 민담의 문화적 특수성을 상당 부분 보존하면서 자국화와 이국화의 균형을 모색한 반면, 시각적 재현에서는 한국적 특성이 서구가 상상하는 일반화된 ‘동양’으로 대체되는 보다 철저한 서구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법사 엄지를 단순한 문화적 착취나 왜곡이 아닌, 20세기 초 미국 출판 시장의 상업적 요구와 헐버트의 한국 체류 경험이 결합된 복합적인 문화 간 번역의 사례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초기 글로벌 미디어스케이프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현대 초국적 미디어 환경에서도 지속되는 문화적 혼종성의 역학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문화적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하고 변용할 것인가에 대한 현대적 문제에 역사적 통찰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hybridity in Homer Hulbert’s Omjee the Wizard (1925), analyzing how Korean folktales were transformed within early 20th-century American publishing contexts. Drawing on theoretical frameworks of Venuti’s foreignization/domestication and Appadurai’s deterritorialization/reterritorialization, the research investigates three dimensions of cultural translation: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adapta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Hulbert’s text maintains a nuanced balance between preserving Korean cultural elements and adapting to Western literary conventions, particularly in narrative content and character dynamics. However, the illustrations demonstrate a more thorough Westernization process, replacing Korean cultural specificity with Orientalist imaginings of a generalized “East.” Rather than viewing this work as simply cultural appropriation or imperial distortion, this study positions Omjee the Wizard as a complex case of cultural negotiation reflecting Hulbert’s experience in Korea and the commercial demands of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By examining this early example of transnational media content, the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cultural hybridity dynamics that continue to resonate in contemporary global media environments, offering valuable perspectives on navigating cultural identity in translation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