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의 경계와 질서의 재구성: 탈가정 청소년의 ‘팸’ 생활에서 나타나는 돌봄과 친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constructing of Family Boundaries and Order: Focusing on caring and intimacy in the ‘Fam’ life of youth after leaving home)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0.12
47P 미리보기
가족의 경계와 질서의 재구성: 탈가정 청소년의 ‘팸’ 생활에서 나타나는 돌봄과 친밀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28호 / 345 ~ 391페이지
    · 저자명 : 추주희

    초록

    이 연구는 탈가정 청소년이 ‘팸’에서 경험하고 수행하는 돌봄, 친밀성의 양상을 살핌 으로써 ‘팸’의 의미를 되짚는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부터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탈가 정 청소년의 거주지를 방문하는 등 참여관찰을 시작으로, ‘탈가정’ 이후 또래 커뮤니티 에서 생활하거나 생활한 경험이 1년 이상 있는 청소년 10명과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기본적으로 ‘팸’은 이들에게 원가족 또는 혈연가족의 대체재 성격을 갖기도 하지만, ‘팸’과 같은 집단 안에서 가족의 부재를 보상할 만큼의 안정적인 양육이나 돌봄의 관계 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들에게 ‘함께 산다’는 의미에서 가족의 역할은 맥락에 따라 다르 게 구성되고 협상될 수밖에 없다. 특히 관계 맺음의 방식에 따라, 생존을 위한 수단에 따라 이들의 돌봄 관계 및 가족 실천은 다양한 양상을 띤다. 이는 또래 간 상호 ‘의존’ 상태의 부정적 이해를 넘어서 실천적인 맥락에서 돌봄과 친밀성의 재구성 과정을 드러 낸다. 팸 ‘안’에서의 삶은 집단적이지만, 삶의 방식은 주로 이동적이고 일시적으로 맺어 지는 팸 관계의 특성상, 각종 문제와 위기의 해결 과정에서 개인이 최종 책임을 져야 한 다. 따라서 장기화된 팸 생활에서 개인적 안전망으로서 지역 내 또래 관계가 중요하게 유지된다. ‘팸’이라는 명명과 더불어 내부의 관계에서 ‘엄마’, ‘아빠’와 같은 호칭을 사용하는 것은 유사 가족의 의미화와 연결된다. ‘엄마’와 같은 존재가 분명 거의 모든 팸 에 있다는 점에서 돌봄의 불가결함을 가시화한다. 그러나 ‘비표준적인’ 친밀성은 장기 적 관계나 시간성을 공유하지 않으며, 개인의 공유 자원(정서적·경제적)에 따라 교환된 다. 돌봄의의무가실현될수없는환경, 공유할자원이부족한경우서로에대한막연 한 ‘신뢰’는 보호를 빌미로 한 또 다른 폭력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 물질적이고 직접적 인 감정의 교환과정에서 등급화되고 가부장적인 성별 억압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탈가정 청소년들의 ‘팸’을 둘러싼 돌봄과 친밀성의 경험은 낭만적 사랑 관계로 이해될 수없으며, 현대정상가족모델이지향하는자유롭고평등한관계맺음의환상을폭로 하고, 나아가 기존의 ‘가족’ 담론과 성인 중심의 돌봄 지원 체계의 공백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pam’ by looking at aspects of care and intimacy experienced and performed by youth after leaving home. In particular, since August 2017, it star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by visiting the residences of teenagers from ‘Fam’ houses in Gwangju, and interviewed with 10 teenagers who have lived or lived in the community of their peers for more than a year ‘after leaving home’. Basically, ‘Fam’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ubstitute for the original family or the relatives,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nurturing relationship or a stable care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way relationships are formed, the means of survival, their caring relationships and intimacy practices are bound to appear in a very diverse way. This criticizes the negative understanding of peer-to-peer mutual ‘dependence’ status, reveals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care and intimacy in a practical context. Life in Pam is collective, but the way of life is mainly mobile,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temporary relationship with Fam,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solving various problems and crises is the individual. Thus, peer relationships in the region remain important as a personal safety net in the prolonged Fam life. The use of nicknames such as ‘mom’ and ‘dad’ in internal relationships, along with the name ‘Fam,’ meant them as ‘fake families’ or similar families. However, to say that there is certainly a “mother” in almost all Fam also implicitly shows the need for essential care. ‘Non-standard’ intimacy does not share long-term relationships or temporality, and is exchanged according to individual shared resources (emotional and economic).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duty of care cannot be realized and where there is a lack of resources to share, vague ‘trust’ in each other is another violence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on. In this material and direct emotional exchange process, the oppression of the graded and patriarchal gender system emerges. However, the experience of care and intimacy surrounding the ‘Fam’ of youth after leaving home cannot be understood as romantic love relationships, exposing the illusion of free and equal relationship pursued by modern normal family models, and further revealing a vacuum in existing ‘family’ discourse and the adult-centered care support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