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세례예식: 저항과 어파퍼시스(Apophasis) 그리고 제 3의 공간을 중심으로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Resistance, Apophasis, and the Third Spa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5.03
26P 미리보기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세례예식: 저항과 어파퍼시스(Apophasis) 그리고 제 3의 공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79권 / 257 ~ 282페이지
    · 저자명 : Ahn Deok Weon

    초록

    본 논고는 탈식민주의 이론을 사용하여 기독교 세례에 대한 이전의 평면적인 접근을 넘어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진다. 즉 성서가 쓰인 상황에서 발견되는 억압과 고통 등 사회정치적 상황을 감안하여 포괄적이며 정확한 이해를 도모한다.
    1장에서는 탈식민주의적 성서읽기를 위해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와 호미 바바(Homi Bhabha) 등의 이론과 곽 퓨란(Kwok Pui‐lan)은 “상상을 통한 대화”(imaginative dialogue)과 메사 두베(Mesa W. Dube)의 “해방의 독립성“ (Liberating Interdependence)등을 사용할 것이다.
    2장에서는 1장에서 제기한 기존의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갈라디아서 3장 26-28절, 그리고 고린도 전서 12장 13절에 언급된 세례의 특성을 저항과 어파퍼시스 이론의 시각에서 분석할 것이다. 당시 교회는 세상의 힘과 권력, 그레코-로만(Greco- Roman)의 세계질서 속에서 생존과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숙제를 풀어가고 있었다. 바울은 이러한 사회, 정치, 문화적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선포하고자 했고 그 과정과 결과가 바로 세례라는 것이다. 바바의 이론을 빌리면, 바울은 세례에 대한 반어법적인 피력을 통해 로마황제의 야망과 계획을 극복하려했을 것이다. 세례는 기존의 강제된 통일을 해체하고 그리스도안에서 궁극적인 하나됨을 시도하는 은혜와 자유의 사건임을 탈식민주의 이론에서, 구제척으로는 저항과 어파퍼시스를 통해 얻어내는 것이다.
    3장에서는 호미 바바(Homi Bhabha)가 주장하는 제 3의 공간의 개념으로 기독교의 세례를 정의할 것이다. 제 3의 공간은 권력과 힘의 거래와 합의가 이루어지는 자리, 이항대립성이 해소되는 장소이다. 세례를 받았다고 하여 유대인과 헬라인이, 남자와 여자가, 자유인와 노예가 그 계급적 정체성을 서로 바꾸지 못한다. 그 고유의 정체성의 바탕 위에 새로운 정체성이 생기는 것이 바로 세례이다.
    위와 같이 탈식민지적 관점에서의 세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세례의 의미에 대한 고찰과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 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Christian ini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first part articulat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interpretation and its contributions. It was raised in the area of literary criticism by renowned scholars such as Edward Said and Homi Bhabha. It asks who has the power to interpret text and/or tell stories to others. According to postcolonial theologians, contexts and traditions should be the texts of hermeneutics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ative dialogue" and "liberating interdependence" on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Christians.
    In this respect, in the second chapter, the writer of this article deals with not only the text, but also the context of the text of Christian Initiation. Christian baptism is a form of resistance and it is expressed as apophasis in the midst of oppression and injustice. Paul dreamed of, and indirectly proclaimed,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through the Christian Initiation.
    Thirdly, Christian Baptism is a process of seeking hybridity and in-betweenness, appropriating such terms from Postcolonial studies. Paul speaks the truth to both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In the "the Third Place,"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encounter, and all conflicts are resolved. The Christian initiation creates this new life where equality is accomplished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men and women, and the free and slaves. It is a life with an unrealistic but necessary vision which is possible by "one Spirit" through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insights from Post-colonialism, all the baptized drink one Spirit with a new and the "third" identity in the Third Spa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ositive challenge to both traditional liturgical understanding and romantic idealism on baptism through postcolonial analysis. Christian initiation is not just a ritual of a community, but a sacrament which advocates radical resolution toward a new life in any context of injustice and in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