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자유를 통한 자유’와 교육행위의 지향성 - 탈주체성 또는 상호주관성의 교육이론을 위한 일 고찰 (Freiheit durch Unfreiheit: die Intentionalitt des Handelns - eine Studie zur Theorien der Entsubjektivierung oder Intersubjektivitt in der Erziehungswissenschaf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07.02
26P 미리보기
‘부자유를 통한 자유’와 교육행위의 지향성 - 탈주체성 또는 상호주관성의 교육이론을 위한 일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8호 / 139 ~ 164페이지
    · 저자명 : 우정길

    초록

    일반적으로 '부자유를 통한 자유'와 '지향적 주체의 타자 대상화' 등은 교육학의 특정 학파적 입장과 무관하게 이론적 해명의 난제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러한 이론적 해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교육가능성과 교육필연성은 자명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고에서 연구자는 교육학의 이러한 딜레마적 기본구도에 동의하거나 부정하기에 앞서, 교육가능성과 교육필연성이 터하고 있는 사유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교육에 대한 기존의 이해와는 다른 혹은 새로운 이해와 논의의 가능성 모색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우선 전통적 교육학에 내재된 존재성과 당위성 사이의 이론적 긴장관계(제I장), 부자유와 강제를 통한 자유의 딜레마(제II장) 그리고 교육행위주체의 의도성과 지향성(제III장) 등의 고찰을 통해 주체중심적 교육학 이론이 당면한 해명의 난제를 환기시킨다. 이어지는 제 IV장에서는 이상의 고찰을 통해 드러난 교육학이론의 난제 해소를 꾀하고 있는 근래의 교육학연구 동향을 독일(어권)교육학에 국한하여 소개한다. 이 새로운 경향의 연구들은 앞에서 회의적 관점에서 고찰된 전통적 교육학과는 차이를 보이는 관점으로서, 주로 근대적 주체성의 재고와 반성 및 재구성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탈주체성 또는 상호주관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다. 결론에 해당하는 제V장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경향의 교육학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후의 연구를 위한 제안을 시도한다.

    영어초록

    Das Dilemma von "Freiheit durch Unfreiheit/Zwang"(Kant) gilt im Allgemeinen sowohl in Erziehungswissenschaft als auch in pädagogischer Praxis unabhängig von erziehungswissenschaftlichen Positionen als ein unlösbares Problem, durch welches - und trotz des Verständnisses als solches - sich die traditionelle Vorstellung über Bildsamkeit (Notwendigkeit und Möglichkeit von Bildung und Erziehung) rechtfertigen lässt. In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um eine skeptische und zum Teil kritische Überprüfung dieser als selbstverständlich erscheinenden Problematik in der modernen Pädagogik.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liegt nicht darin, durch diese skeptische Fragestellung eine voreilige Feststellung zu gewinnen, dass Bildung und Erziehung weder möglich noch notwendig ist. Durch diese Fragestellung gewinnt man eine noch präzisiertere Diagnose über die paradoxe Problemlage der modernen Pädagogik, die mit der modernen subjektphilosophischen Orientierung im engen Zusammenhang steht und deren wesentliches Merkmal in einer Intentionalität des Handelns liegt. Durch die kritisch-phänomenologische Überprüfung von Intention und Intentionalität des pädagogischen Handelns gelangt man an die Diagnose, dass sich die pädagogisch in sich widersprüchliche und durch die idealisierte Dualisierung des Menschen (Tierheit und Menschheit) zu rechtfertigende Spannung zwischen Sein und Sollen - und das Dilemma von "Freiheit durch Unfreiheit/Zwang" - in diesem Paradigma nicht auflösen lässt. Aus diesem Grund werden schließlich Hinweise auf einige neuzeitliche Versuche im Rahmen der deutschsprachigen Erziehungswissenschaft gegeben, ihre Ansatzpunte genannt und grob skizziert, um einen Überblick über die aktuelle Forschungslage in diesem Bezug zu bekommen und ein neuzeitlich-alternatives Denk- und Deutungsmuster des pädagogischen Handelns(Entsubjektivierung oder Intersubjektivität) zu schaff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