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 콘트랙트의 금융법적 문제와 규제 수단에 대한 검토 - 탈중앙화 금융산업에 대한 규율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Financial Legal Issues and Regulatory Tools for Smart Contract- Focusing on regulatory policies for the decentralized financial industry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4.03
29P 미리보기
스마트 콘트랙트의 금융법적 문제와 규제 수단에 대한 검토 - 탈중앙화 금융산업에 대한 규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9권 / 1호 / 418 ~ 446페이지
    · 저자명 : 원지호, 박선종

    초록

    최근의 금리상승이나 경제적 불안은 탈중앙화 금융산업에 있어서 큰 위축을 불러오고 있다. 전통적인 제도권의 금융산업에 비해서 나타난 큰 규모의 낙폭은 결국, 적절한 수준의 금융규제가 시장의 활성화 측면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점차 탈중앙화 금융산업에 있어서 규율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지만 그 논의는 기초가 되는 가상자산의 특성에 국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스마트 콘트랙트와 같이 탈중앙화 금융산업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기술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스마트 콘트랙트의 정의에 대하여 여러 논의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스마트 콘트랙트는 어떠한 약정이 지정한 조건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코드 중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 콘트랙트 기술의 기원상 블록체인 기술은 필연적으로 요구되지 않지만, 현재 용어의 쓰임이나 실제적인 구현에 있어서 블록체인 기술이 통상적으로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마트 콘트랙트는 ① 익명성, ② 의사와 코드 내용의 불일치 ③ 우회성, ④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중요한 특성이 있어 다양한 법률문제와 결부되고 있다.
    기존의 규제 담론은 각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있어서 탁월함을 가지고 있으나 ① 구체성, ② 자발성 양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규제 방식은 탈중앙화 금융의 주요한 거래 수단인 스마트 콘트랙트의 구체적 특징을 고려함과 동시에 개인의 자발적인 호응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 콘트랙트 자율심의기구와 개인키 위탁기관 및 위탁인증제는 이러한 요건을 바탕으로 제시한 나름의 해결책이지만 이 또한 스마트 콘트랙트의 법률상 문제를 해결한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는 유인구조를 가진 규제 방식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하다.

    영어초록

    Recent interest rate rises and economic unrest have caused a significant contraction in the decentralized financial industry. The large-scale declin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institutionalized financial industry shows that the right level of financial regulation can help to revitalize the market. As such, the need for regulation in the decentralized financial industry is increasingly recognized, but the discussion is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lying virtual assets, an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technologies that form the basis of the decentralized financial industry, such as smart contract.
    There is much debate about the definition of a smart contract, but basically, a smart contract can be defined as computer code, implemented on blockchain technology, that, upon the occurrence of a specified condition or conditions, is capable of running automatically according to pre-specified functions. The origin of smart contract technology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blockchain technology, but the current usage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term usually involves blockchain technology. These smart contract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legal issues due to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1) anonymity, (2) inconsistency between intent and code content(Similar to the issue "der Unstimmigkeiten von Willen und Erklärung”), (3) circumvention, and (4)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The existing regulatory discourse is excellent at achieving its objectives, but i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1) specificity and (2) voluntariness. A new regulatory approach needs to conside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mart contract, the main transaction method of Decentralized finance, while encouraging voluntary responses from individuals. The Smart Contract Self-Review Board, Private Key Custodian Organization, and Entrusted Certification System are solutions based on these requirements,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they completely solve the legal problems of smart contracts, and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on a regulatory method with an incentive structure that can attract voluntar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