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진실시대 언론의 소셜미디어 인용 보도에 관한 연구 — 검찰개혁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ress's Use of Social Media-Sourced Contents in the Age of Post-Truth: Focused on the News Related to Prosecution Refor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8
37P 미리보기
탈진실시대 언론의 소셜미디어 인용 보도에 관한 연구 — 검찰개혁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언론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법 / 21권 / 2호 / 47 ~ 83페이지
    · 저자명 : 설진아, 전승

    초록

    이 연구는 탈진실 시대에 국내 주요 일간지가 페이스북(Facebook) 게시글을 인용해 ‘검찰개혁’ 이슈를 보도한 내용을 분석하여, SNS 취재원을 기사에 직접인용하는 관행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자들은 언론이 SNS 및 취재원을 인용할 때 형식적인 저널리즘만을 수행하려 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검찰개혁’과 같은 정치 사안에서 페이스북 게시물을 취재에 활용하거나 직접인용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조선>, <중앙>, <동아> 등의 언론사가 검찰개혁 이슈 관련 기사를 자주 보도하며 페이스북 게시글을 해설 또는 분석 기사에 활용함으로써, 취재원의 의견에 기반해서 사회의 담론을 점유하고자 하는 경향을 드러냈다. 기사에 인용한 취재원은 정치인이 가장 많았고, ‘검찰개혁’ 이슈와 관련 이해관계를 가진 법조계 인물의 페이스북 인용 정도는 매우 낮았다. 한편 전체 기사 2/3 이상의 분량을 페이스북 게시물이 차지하는 단일 취재원 기사 비중은 40% 남짓이며, <조선>을 제외한 4개 언론사가 하나의 기사 내에 중립적이기보다 주관을 가미해 문맥을 재배열한 복합 재맥락화 서술어를 많이 사용해서 페이스북 게시물을 인용했다. 아울러 기사에서 인용된 페이스북 게시물과 제목 간의 따옴표 인용이 일치하는 비중도 기사의 절반 이상 나타났다. 기자들이 페이스북 취재원들의 실명을 기사에 노출하면서도 그들의 주장을 기사 전문과 제목에 적극적으로 인용한다는 결과는 ‘검찰개혁’ 관련 기사에 특정 개인 또는 기자의 사견이 포함되어 노출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We live in an age of post-truth, made worse not only by unchecked information being disseminated over social media platforms but also by such information being used as source material by the press. Using content analysi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SNS sources and direct and indirect quotation methods used in reporting, targeting specifically the news reports carried by Korea's major dailies that sourced its content from Facebook posts containing references to prosecution reform. More specifically, we point out problems that can arise from the major press relying on social media for primary source as abov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its use of social media content quotations.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dependence on Facebook content quotations for source ranked from <Joongang Ilbo> down to <ChosunIlbo>, <Dong-A Ilbo>, <HankookIlbo>, and <Hangyoreh>, majority of the reporting being in the form of commentary or in-depth analysis articles. Reporting-wise, <ChosunIlbo>, <JoognAngIlbo> and <Dong-AIlbo> were particularly active in reporting on the matter, often utilizing the quotes from Facebook source in their reporting to shape the public opinion. Not surprisingly, with the research being centered around the issue of the prosecution reform, politicians were the most cited sources, followed by high-ranking officials an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very few citations from Facebook by legal figures (prosecutors/judges/lawyers) who could be seen as having a stake in the issue of prosecution reform were found. There were even articles by these dailies whose content was more than two-thirds direct quotation from Facebook, with forty percent of them relying on a single Facebook source. Except for <ChosunIlbo>, most dailies engaged in shaping the borrowed content from Facebook to fit a certain slant they were aiming for, often using predicates to realign or hedge their view. Another interesting and problematic finding was that more than half the Facebook sourced news articles by the dailies carried the full title of the original Facebook post, making the identity and the opinions of the content originator or the reporter too easy to discov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rticles related to prosecutorial reform will contain the opinions of specific individuals or reporters and be exposed. Lastly, there are articles that clearly identify the Facebook source by name, but when the reporters quote the Facebook content and its titles overly aggressively, there's the question whether such news can be objective and factual as they rely too much on, say, a politician or there's too much of the reporter's bi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