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 코기토의 자아 해석: 레비나스와 보들레르 - 악의 타자성에서 초월에의 사유로 - (Problem of the self in anti-cogito : Lévinas and Baudelaire- From the alterity of evil to the transcendenc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5.06
29P 미리보기
탈 코기토의 자아 해석: 레비나스와 보들레르 - 악의 타자성에서 초월에의 사유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16호 / 467 ~ 495페이지
    · 저자명 : 윤대선

    초록

    레비나스와 보들레르는 세상의 절망과 혼돈, 이것을 피할 수 없는 자아의 운명과 빈곤으로부터 자아의 궁극적 의미를 제시한다. 그 자아는 염세주의적 세계관에 빚지고있지는 않으며 절망을 넘어 신비적 체험, 운명애 등에 의해 초월적 자아로의 비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점에서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점은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 악 또는 고통의 문제란 무엇인가? 타자성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 문제는 선의 가치나 도덕성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거나 심판받아야 할 것이 아니라 원천적인 실존의 한계와 그 있음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그렇다면 그들은 자아의 실존과 그 있음의 문제에서부터 철학적· 문학적 직관을 통해 세계와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초월의 가능성을 어떻게 엿보고 있는가? 논자는 이와 같은 주요 요지를 그들의 작품들에 나타난 시적 또는 수사학적 표현들을 분석, 비교하며 소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논자는 그들 사이에서 긴밀한 유대가 있는 사상적 맥락을 찾고 그들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야 했으며 자아(존재), 악, 타자성, 에로스, 초월적 사유를 글의 주제로 다루고자 했다.

    영어초록

    Lévinas and Baudelaire present the ultimate meaning of the self as arising from both the despair and chaos of the world, and the fate and poverty of the self. The self is not indebted to a pessimistic vision, and it forms an emergence to the transcendent self through mystical experiences, such as fatalism, which transcend despair. In this regard, there are two points that this article focuses on. First, what is the problem of evil or suffering that Lévinas and Baudelaire see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lterity, the problem is not something that causes fatal harm to the values of goodness or morality or what should be judged, but rather reflects the limits of original existence and existence itself. Second, how do they view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ce in light of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the self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 intend to introduce these main points by analyzing and comparing poetic and rhetorical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ir works. For this kind of research, I needed to find ideological context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hilosophers and examine their historical background, and I also sought to deal with the subjects of their writing: self (existence), evil, alterity, eros, and transcendental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