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중심으로 하여 - (Die Moderne und Postmoderne des Rechts - Am Beispiel des Projekts von Habermas und Touraine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09.06
31P 미리보기
법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중심으로 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0권 / 1호 / 161 ~ 191페이지
    · 저자명 : 양천수

    초록

    이 글은 법의 근대성이 오늘날 어떤 도전을 받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도전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지 - 주로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원용하여 - 다룬다. 근대 계몽주의를 통해 형성된 법의 근대성은 합리적 주체를 전제로 한 자기결정권과 자기처분권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의 근대성은 프랑크푸르트 학파나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합리성과 주체 개념이 비판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법 영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사회가 일종의 구조변동을 겪으면서, 근대법이 만들어 놓은 각종 법적 원칙들은 위협을 받고 있다. 그러면 우리는 법의 근대성을 포기해야 하는가? 필자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여전히 법의 근대성이 지니고 있는 합리주의적인 비전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렇게 근대성을 복원하고자 하는 기획을 하버마스와 투렌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하버마스는 상호주관성에 기반을 두어 근대성을 복원하고자 하는 반면, 투렌은 주체화를 통해 근대성을 복원하려 한다. 그 점에서 양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기획은 법 영역에서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auf die Fragen unter Berufung auf das Projekt von Habermas und Touraine einzugehen, auf welche Herausforderungen die Moderne des Rechts heutzutage stoßen muss, und wie sie die Herausforderungen überwinden kann. Die mithilfe des Zeitalters der Aufklärung entwickelte Moderne des Rechts ist durch die Selbstbestimmungs- und Selbstverfügungsrechte gekennzeichnet, die ein rationales Subjekt voraussetzt. Die Moderne gerät jedoch in Kritik von der Frankfurter Schule und den Philosophen des Postmodernismus, z. B. Lacan und Foucault. Insbesondere die “Rationalität” und das “Subjekt” sind der Gegenstand der Kritik. Dies kann man in dem Bereich des Rechts auch finden. Indem die heutige Gesellschaft einen Strukturwandel erfährt, müssen juridische Prinzipien des modernen Rechts unter Bedrohungen stehen. Wenn dies der Fall ist, dann sollten wir auf die Moderne des Rechts verzichten? Der Autor ist einer anderen Meinung. Er ist der Meinung, dass wir auf der rationalen Vision der Moderne des Rechts bestehen müssen. Dies kann man in dem Projekt von Habermas und Touraine finden. Habermas versucht aber, die Moderne auf der Grundlage der “Intersubjektivität” zu rehabilitieren, während Touraine auf der “subjectivation” beruht. Insofern besteht eine erkenntnistheoretische Unterschiede zwischen Habermas und Touraine. Das Projekt kann meiner Meinung nach in dem Bereich des Rechts verwirklicht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