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The Post-functionalist Curriculum Model and a Metaphor of Identity: A Design for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06
20P 미리보기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34권 / 2호 / 141 ~ 160페이지
    · 저자명 : 손민호, 조현영

    초록

    본고에서는 총체성으로서의 역량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할 때 아이덴티티의 의미가 어떻게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행 역량기반교육과정에 관한 설계는 대체로 역량을 기능별로 구분한 채 가법적인 교육과정 목표모형을 따르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 관점과 맞닿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의 취지를 무력화시킬 가능성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비하여 공동체주의의 따뜻한 역량에 관하여 정리하고 여기서 말하는 역량의 총체성이 어떻게 아이덴티티의 문제로 접근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달라진 세계의 여건 하에서 아이덴티티는 교육과정 이해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 아이덴티티로 재개념화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설계에 있어서 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과 어떻게 다른 접근을 요구하는지 제시해 보았다. 아이덴티티의 논리와 모형에 관한 추후 연구는 교육과정 연구에서 이해의 패러다임과 개발의 패러다임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해법 또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Revisiting competence in favor of communitarianism, this study criticizes functionalism in the model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developing the competence curriculum model, functionalism has been postulated along with liberal thought, which presents a parti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Respecting the totalistic nature of competence, I propose a metaphor of identity as a post-functionalistic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ith a warm-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term “identity” has taken on a great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literature. I sketch out but one approach that draws on a consistent strand of participation. I propose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identity-based curriculum, as follows: First, personalized curriculum should be seen as a life project. Designing a personalized curriculum does not mean developing customized courses; instead, the courses should involve self-directed, deep, and long-term learning.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take support for individual learning portfolios as a primary principle in its development.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subject and non-subject contents.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quires a critical perspective related to the dualism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favor of situated practice. The separation of the subject from non-subject curriculum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hird, a community-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Living community features a classroom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aring based on practical ethics and the accountability of community members. A learning community allows the school to be transformed into a learning organization where members of the community form their identiti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fashioned that represents its own character. Competence is encouraged to develop through participation in a culture; this conditions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