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경제적 관점으로 읽는 전도서의 소박한 행복과 ‘탈성장’ (Simple Happiness in Ecclesiastes and ‘Degrowth’ from a Socioeconomic Perspectiv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02
31P 미리보기
사회경제적 관점으로 읽는 전도서의 소박한 행복과 ‘탈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37권 / 1호 / 35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순영

    초록

    이 논문은 전도서에서 말하는 온갖 ‘수고’와 ‘이득’의 문제를 사회경제비평의 관점에서 읽기를 시도한 것이며, 전도서의 소박한 삶의 기쁨을 현대의 ‘탈성장’ 이론과 함께 대안적인 지혜로 제안한다. “해 아래 사람이 수고하는 온갖 수고가 그에게 무슨 이득이 있는가?”(1:3) 이 질문은 전도서의 핵심 주제질문으로서 “모든 것이 헛되다”(1:2)라는 현실 판단 만큼 도전적이다. 코헬렛은 비슷한 질문을 반복하면서(3:9; 5:16) 태양의 열기 아래 노동하며 살아가는 인류(아담)의 정체성은 물론 인류의 사회경제적 존재로서의 현실을 자각시킨다. 따라서 이 논의는 경제성장을 과도하게 부추기고 이것을 종교화하는 삶을 각성시키기 위함이며, 온갖 수고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인류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지혜 담론이다. 코헬렛은 솔로몬의 영광을 헛것으로 만들고, 온갖 수고를 증오한다고 말할 뿐 아니라(2:17-18), 모든 것은 헛되고 바람 잡는 것이라고 일곱 번 반복한다(1:14; 2:11; 2:17; 2:26; 4:4; 4:16; 6:9). 그러나 동시에 그는 ‘먹고 마시고 일하며 기뻐하라’는 단순하고 경쾌한 조언을 변주된 문장으로 일곱 번 반복한다(2:24-26; 3:12-13, 21-22; 5:18-20[17-19]; 8:15; 9:7-10; 11:7-10). 이처럼 단순한 일상의 반복에서 삶의 기쁨을 찾는 코헬렛의 행복론은 성장을 추구하는 경제 시스템에서 이탈하고 성장을 지양하는 ‘탈성장’ 이론과 호응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의는 경제성장에만 집착하는 과도한 욕망을 꼬집고 풍요와 부족 사이에서 적절한 수준과 절제의 삶을 위해 더 많은 소유와 성장이 아니라 ‘소박한 풍요’를 위한 지혜 정신 확장을 목표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proposes the joy of a simple life and the ‘degrowth’ movement as an alternative wisdo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economic criticism of all the ‘labor’(amal, ) and ‘profit’(itron, ) of mankind in Ecclesiastes. “What profit does man gain from all his toil under the sun?”(1:3) This question, as the central thematic one of the book of Qoheleth, is as challenging as the judgment of reality that “All is vanity.”(1:2) Qoheleth repeats similar questions(3:9; 5:16[15]), imprinting the identity of humankind, who cannot escape from all kinds of hardships. And also it makes us aware of the identity of mankind(adam, ) as well as the reality of socioeconomic existence. Accordingly, this discussion is a discourse that deals with how mankind will live through all kinds of hard work, awakening the act of over-encouraging economic growth and turning it into a religion. In fact, Qoheleth not only makes Solomon's glory vain and hates all toil(2:17-18), but also repeats seven times that everything is vanity and chasing after the wind(1:14; 2:11; 2:17; 2:26; 4:4). At the same time, however, he repeats seven variations of the simple and cheerful advice, ‘Eat, drink, and enjoy in labor’(2:24-26; 3:12-13, 21-22; 5:18-20[17-19]; 8:15; 9:7-10; 11:7-10). Interestingly, Qoheleth's discourse of happiness, which seeks joy in the repetitive simplicity of daily life, corresponds to 'degrowth', which is 'appropriate growth' that avoids growth and breaks away from the economic system that pursues unlimited growth. Therefore, this discussion pinches the greed that is obsessed with economic growth between abundance and shortage and also presents Qoheleth's wisdom and degrowth that encourages appropriate levels and abstinence as an alternative wisdom for ‘frugal abundance’. Both are spirit of wisdom that aim for a better relationship rather than possession, and maturity, not growth, for a better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