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근대적 군사력과 군사분야혁명(RMA)의 역사적 이해 (Post-Modern Warfa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RM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02.06
25P 미리보기
탈근대적 군사력과 군사분야혁명(RMA)의 역사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42권 / 2호 / 67 ~ 91페이지
    · 저자명 : 박인휘

    초록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군사분야혁명은 역사적으로 과거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진행된 근대화적 전면전을 대체하는 새로운 군사력의 혁명적 변화라는 관점에서 독창성을 가지고, 한편으로 그것이 일정하게 반복되어 온 군사분야혁명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보면 역사적 순환성을 가진다. 정보화사회의 결과물로서의 군사분야혁명은 전쟁수행의 대상이 가시적인 물리력이 아니라 비가시적인 정보의 수급이라 데에 최근 그 함의가 있다. 이러한 함의는 “대량파괴”를 최고의 목표로 삼았던 근대군사력의 쇠퇴를 촉진하는 탈근대적 군사력의 속성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보자면 국제정치의 힘의 작동 원리에 대한 변화까지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국제안보환경 속에서 자국의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미국은 군사분야혁명을 주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탈냉전기 비대청적 위협으로부터 국제안보질서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명분이 설득력 있게 자리잡고 있다. 결국 국제정치의 안보담론이 군사분야혁명에 의해 이해되어지는 것이다. 정보화 사회는 적을 규정하는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정보자체에 대한 엄청난 부가가치의 창출이며 동시에 첨단 과학기술의 혁명적 발달의 결과이다. 군사분야혁명의 국제정치는 이런 의미에서 근대성과 탈근대성을 동시에 담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fashionable to argue that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is in the midst of security studies. Both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military literatures are now replete with analyses of topics such "information warfare," "cyberwar" and "third wave warfare." The onset of the RMA in the late 19705 marked a decisive break with the logic of warfighting that had shaped the ideas, instruments and institutions of organized violence since the 19840s-the Prussian paradigm and its progeny, industrialized total war. From the 19805 and onwards, social and technological forces were gathering that would eventually bring the period of industrialized total warfare to an end and initiate that revolutionary process that is currently transforming the nature of warfighting. While it is still very early in a process that may take decades to culminate in a major remaking of the battlefield, the outlines of this new mode of warfare are already clearly discernible as the logic of "precision destruction" has displaced that of "mass destruction" as the imperative shaping the evolution of the ideas, instruments and institutions of warf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