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소주택과 ‘작음’의 담론: 전후에서 탈전후 건축으로 (Smallness in Japanese House: From Postwar to Post-postwar Japanese Architectu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02
24P 미리보기
일본의 소주택과 ‘작음’의 담론: 전후에서 탈전후 건축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비평 / 20호 / 224 ~ 247페이지
    · 저자명 : 조현정

    초록

    1990년대 이후 일본 건축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으로 작은 집 열풍을 들 수 있다. 일본 주택의 독특하고 실험적인 주택 디자인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현상으로 여겨지며 일본 현대건축을 대표하는 성공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특히 서구와 비교할 때 압도적으로 작은 주택의 크기는 서구와 일본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 낸 ‘작은 일본’이라는 스테레오 타입을 만족시키며 강조되었다. 본 논문은 일본 주택의 특징인 ‘작음’을 일본 문화의 본질적 특성이나 현실적인 조건에 대한 최적의 선택으로서만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재생산된 일종의 담론 체계로 이해하고자 한다. 일본 건축가들은 ‘작음’의 담론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변동하는 일본 사회에서 요구되는 건축의 정체성과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직조해왔다.
    이 글은 소주택이 유행한 전후 초기와 최근의 작은 집 신드롬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후 건축과 차별되는 탈전후 일본 건축의 쟁점을 살펴본다. 2차 대전 직후의 소주택 실험이 봉건적 구습과 차별된 근대적인 미국적 삶을 이상으로 했다면, 1990년대 이후의 작은 집은 전후와 차별된 탈전후 건축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다원화되고 생태적이며 공동체 지향의 새로운 주거 문화를 지향한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한층 강화된 내셔널리즘의 영향 속에서 ‘작음’의 의미는 물리적 크기와 무관하게 서구 중심의 모더니즘을 넘어설 우월하고 윤리적인 일본적 가치로서 재구축되었다. 즉 ‘작음’의 가치는 전지구화의 물결 속에서 일본 건축의 정체성을 지켜낼 보루이자, 국제무대에서 일본 건축을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만들어 줄 무기이며, 나아가 일본이 전 인류에게 던지는 생존의 지혜로서 강조되고 있다.

    영어초록

    The development of small and unique housing in Japan was a phenomenon that has not been seen anywhere in the world. Responding to Western expectations of ‘small Japa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tereotypes of Japanese people and its culture, the radical designs of small detached houses have attracted international atten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mallness’ of Japanese housing not merely as Japan’s essential nature or a clever adaptation to dozens of constraints, but rather as a strategic choice of architects who try to present a new concept of architecture at the critical juncture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n the wake of World War II, architects’ radical proposals for minimum dwelling were associated with American lifestyle and its democratic ideals, which were clearly distinct from feudalism and imperialism of prewar Japan. Entering the 1990s, the popularity of extremely small detached houses was identified with an alternative minimalist life of post-postwar Japan.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f 2011 served as a turning point in the discourse of ‘smallness’ in Japanese architecture. The past few years have witnessed the refashioning of the implication ‘smallness’ as a highly ethical and therefore superior Japanese quality compared with the bigness in Western modernism. Japanese architect Kuma Kengo is a key figure who tries to promote Japanese peculiar ability to design small as an invaluable cultural asset and a key survival skill in a time of glob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