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정옥의 <조선민요연구>: 탈식민적 전환의 모색과 잉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esis(in 1938) and the book(in 1949) about Joseon-Folksongs written by Go-Jeong-Ok)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11
52P 미리보기
고정옥의 &lt;조선민요연구&gt;: 탈식민적 전환의 모색과 잉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49호 / 29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영희

    초록

    식민지 시기를 관통한 상당수 지식인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고정옥도 해방 이후 본인의 학문적 성과에 드리운 식민지 경험의 그늘을 지우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식민지 지식인의 해방 후 ‘탈식민’적 전환은 시대적 요청이면서 사회정치적 생존의 불가피한 선택 중 하나였다. 자신의 지적 작업이 식민지 근대 교육의 성과라는 사실과, 학문적 뿌리를 구성하는 개념과 범주의 계보가 이른바 ‘제국’의 지적 계보에 연동되어 있다는 사실은 씻을 수 없는 낙인인 동시에 반드시 벗어나야 하는 굴레였기 때문이다.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 강좌 수강생인 고정옥의 학부 졸업논문 <조선의 민요에 대하여>와 1949년에 발간된 수선사본 <조선민요연구>를 대조했을 때 이와 같은 ‘탈식민’적 전환이 이들 지식인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명확하게 드러난다. 여기서 ‘탈식민’은 ‘식민주의’와 ‘제국’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의미에서의 ‘탈(post)-식민’이 아니라 일종의 정치적 전략이자 포즈로서의 ‘탈식민’을 의미한다. 그의 ‘탈식민’적 전환이 식민주의의 성과와 한계를 명확히 짚어내고 그간의 지적 작업에 대한 폭넓은 성찰과 치열한 토론을 통해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고정옥은 수선사본 <조선민요연구>에서 경성제국대학 조선문학 강좌를 통해 그가 받아들였던 ‘제국’의 학문적 계보와 식민지 근대 교육의 유산으로 분류될 만한 모든 참고문헌 및 관련 내용들을 지운다. 또한 그는 학부졸업논문에서 ‘조선민요’의 특성을 ‘조선민족성’에 결부시켜 논하는데 여기서 그는 ‘조선민족성’의 부정적 측면을 강하게 부각시키며 이를 지배계급이 만들어낸 한계로 지적하였다. 수선사본에서는 이와 같은 부정적 측면에 대한 서술이 부분적으로 유지되기는 하되 피지배계급의 노래로서 민요가 갖고 있는 긍정적 가능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었다. 그러나 ‘탈식민’적 전환을 꾀한 부분과 여전히 지속되는 식민의 흔적이 착종되거나 서로 모순을 일으키는 양상이 드러나기도 한다. 졸업논문에서 ‘토속’으로 호명된 ‘조선적인 것’ 역시 수선사본 <조선민요연구>에서 표면적으로 부정되고 소거되기는 했으나 그 기본 관점 가운데 일부는 다소 변형된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고정옥의 사례를 통해 볼 때 당대 조선 지식인들이 선택한 ‘탈식민’적 전환은 임기응변식의 피상적 도전일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역시 한계를 드러내지 않을 수 없었다. ‘탈식민’을 통해 ‘단절’하고 ‘배제’하고자 했던 ‘제국’과 ‘식민지’의 흔적은 일종의 ‘잔여’ 혹은 ‘잉여’로 남아 그들의 ‘탈식민’적 전환이 불완전하고 모순적인 것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전환’이 만들어낸 잉여가, 의도된 ‘소거’에 저항하며 텍스트 이면의 보이지 않는 곳에서 더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보존됨으로써 이들이 시도했던 ‘탈식민’의 한계를 드러내기에 이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esis and the book, which have been studied about the folksongs of Joseon and written by Go-Jeong-Ok. He was a scholar of Joseon, who had studied about Joseon-folksongs. He was a student at Kyeogseoung(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1930s. He attended the class of Joseon literature in which Japanese scholar Takahashi Tohoru had taught the literature and philosophy of Joseon. When he graduated in law and literature from Kyeogseoung(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1939, he wrote the thesis about the history, concept, category, characters and vision of Joseon-folksong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inished, he revised his graduation thesis and then published the book of the study on Joseon-folksongs(『朝鮮民謠硏究』) in 1949.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his graduation thesis(in 1938) and his book(in 1949). He intended to clear away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so he expurgated the contents relevant to Japanese colonialism and to the class of Joseon literature of Kyeogseoung(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from his book(in 1949). And he tried to re-write that substance as if he created them out of nothings for the first time.
    This is some of gestures descended form his post-colonial project, but it could not be resulted in successful practice of post-colonial project. Because he made an effort to wipe out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his effort resulted in preserving the effects of Japanese colonialism, if anything. The relevant to Japanese colonialism was preserved with being abjected through his ‘pose’ for post-colonial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