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탈원전 정책 전개 과정 및 법제화에 관한 연구 (An Interdisciplinary Study on the Political and Legislative Developments of the Zero-Nuclear Policy in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05
26P 미리보기
일본의 탈원전 정책 전개 과정 및 법제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제규제와 법 / 12권 / 1호 / 123 ~ 148페이지
    · 저자명 : 구유진, 윤혜선, 박현정

    초록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당사국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원전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다시금 불러일으키며 기존의 원자력 정책을 재고하고 탈원전으로 나아가기 위한 강한 동기를 부여하였다. 본고는 그 가운데 사고 당사국인 일본에서의 탈원전 정책의 전개 과정과 법제화 노력을 정치학과 법학의 관점에서 다학제적으로 다룬다. 탈원전 정책 과정에 있어 일본 사례를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원전 정책의 역사와 전개 과정에 있어서 일본과 매우 유사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많으며, 에너지 문제를 비롯하여 국가의 경제 사회 구조와 밀접히 연계되어 있는 복잡한 이슈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일본의 원전 역사를 되짚어보면서 탈원전 정책을 개관하고, 후쿠시마 사고 직후의 탈원전 정책 선언에서 다시 “원전으로의 회귀” 움직임이 있음에 주목한다. 기록적인 원전 사고 당사국인 일본은 탈원전을 선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왜 다시 원자력 발전으로 입장을 선회하게 되었는가? 일본의 원전 정책은 앞으로도 탈원전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본고는 우선 이를 설명하는 네 가지 요인, 즉 (1) 기능적 요인으로서 원전의 친환경적이고 안정적 에너지원으로서의 장점, (2) 정치경제적 요인으로서 강력한 원자력 옹호집단의 건재와 중앙-지방 간의 원전 의존적 관계, (3) 제도적 요인으로서 제도의 경로의존성, (4) 국내정치적 요인으로서 정권교체와 원전 유치 지역의 보수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원전 회귀’의 원인이 아니라 ‘원전 회귀’ 움직임에 브레이크를 거는 요인이자 ‘탈원전 정책으로의 전환’을 견인할 잠재적 변수로서 ‘탈원전 여론과 시민운동’에 초점을 맞추고 그 중요성을 확인한다.
    이와 함께 압도적인 탈원전 여론과 시민운동을 바탕으로 “원전이 필요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2018년 3월 야4당이 발의한 ‘원전 제로 기본법안’을 분석하고, 국내에 시사하는 법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특히 다섯 가지 쟁점, 즉 (1) 원전폐지 기간과 대응책 마련, (2) 원전 신⋅증설, 운전연장허가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전면 금지, (3) 원자력 정책 추진에 있어 국가의 책임 정도와 범위, (4) 원전폐지로 인한 사업자 손실 관련 국가 책임 정도와 범위, (5) 원전폐지로 인한 지역경제사회 구조 변화와 재건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와 같은 검토를 바탕으로 본고는 본 법안이 탈원전의 기본이념과 정책 추진에 있어 큰 틀을 제공하지만, 원전[그림1] 국가별 에너지생산 가운데 원자력발전 비율(1960~2017, %)정책 추진에 있어서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사업자 및 지역사회의 손실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는 데 있어서 그 정도와 범위에 대한 심도 있고 명확한 지침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한다. 이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학제적 연구가 필요한바, 이를 향후 과제로 삼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at occurred immediately after a catastrophic earthquake and Tsunami hit Tohoku area of Japan on March 11, 2011, cast doubts on the safety and sustain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not only in Japan but also around the world, thus providing strong incentives to reconsider its existing nuclear policy and triggering a momentum for the “Zero-Nuclear Power”.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Zero-Nuclear Policy in Japan, viewed in light of political and legal perspectives. This has a twofold purpose: on the one hand, the case study on Japan is likely to provide insights to South Korea, who has walked a similar nuclear path with Japan, and tak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helps enrich our understanding of such highly sophisticated issues as nuclear policy, deeply-tangled with socio-economic structure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on the other.
    For this, this paper first giv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nuclear power in Japan, and then pays attention to its move to the “return toward nuclear power” after the Zero-Nuclear declared when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ook place. This paper, accordingly, asks: why has Japan been returning toward nuclear power again even though they have suffered from such a tragic nuclear accident and declared once the “Zero-Nuclear” policy? Will Japan’s nuclear policy ever move away from the “Zero-Nuclear”? Four possible answers are articulated grounded on previous researches: 1) functional factor, which explains the return to nuclear power with regard to its eco-friendly and low-cost features, 2) political economic factor, which highlights firmly established nuclear advocacy coalition groups and interdependent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n nuclear power, 3) institutional factor, primarily having been discussed based on path dependency theory, 4) domestic political factor, in which the power alteration from the DPJ to the LDP and conservative nuclear host local communities maneuver the policy’s destiny. In addition to these, lastly,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a “variable” of “overwhelming nuclear-zero public opinion and vigorous civil society movements,” which has been overlooked, but has a potential power to impede the move of retuning to nuclear power and simultaneously to lead the drive of the Zero-Nuclear policy.
    Together with this, this paper ushers and analyzes the “Bill for the Basic Law for Zero Nuclear Energy” proposed in March 2018 by the four opposition political parties initially initiated by the civil society in order to make a “society where no more nuclear power plants are needed”. It will provide some legislative implications to South Korea. Among many, this paper elucidates five issues in particular: 1) the period of nuclear phrase-out and its countermeasures, 2) a ban on the expansion and build-up of nuclear power plants, renewal of operation, and reprocessing nuclear waste, 3) the level and the scope of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promoting the pro-nuclear energy policy, 4) the level and the scope of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the loss of operators incurr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Zero-Nuclear Policy, 5) the reconstruction of the socioeconomic structure and the rebuilding of former nuclear host communities in response to the nuclear phase-out. Taken together, this paper admits that the bill aptly provides a framework and basic ideas, but asserts that there still remain many crucial issues under-discussed, specifically regarding the level and the scope of the state responsibility as acknowledging it in promoting the pro-nuclear energy policy and in implementing the phrase-out nuclear policy. In this regard, ceaseless endeavors to conduct theoretical review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issues are required and it will bring us to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규제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