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기와 응전: 탈냉전 이후 북한사회 정치구조 변화 해석 (Crisis and Response: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the political structure of North Korean society after the post-Cold War)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0.12
38P 미리보기
위기와 응전: 탈냉전 이후 북한사회 정치구조 변화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북한학연구 / 16권 / 2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김진환

    초록

    북한사회가 탈냉전과 맞물려 체제위기로 접어들면서 정치구조에도 변화가 불가피했다. 당 내 권력이 1인(수령)에 집중돼 있고 이 1인이 국가와 군대를 모두장악한 권력구조는 지금도 변함없다. 하지만, 조선노동당은 체제위기 응전 차원에서 지배구조의 개혁만큼은 시도했다. 따라서 탈냉전 이후 북한사회 정치구조변화를 읽으려면 권력구조보다는 지배구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지배구조 변화의 내용을 당 내 1인 권력자의 발언, 1992년 이래 현재까지 9차례나 이루어진 개헌 내용 등을 주요 자료로 해석했다.
    조선노동당이 추진한 지배구조 개혁의 핵심은 분산형 지배구조로의 전환, 곧국가기구의 지배기능 활성화다. 이는 김일성-김정일의 중앙인민위원회-국방위원회-정무원 역할 분담 체계, 김정일의 국방위원회-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내각 역할 분담 체계를 거쳐, 2016년 이후 국무위원회-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내각 역할 분담 체계가 정립되면서 정착 단계에 이르렀다. 체제위기 심화 국면에서 당기구의 지배기능이 국가기구의 지배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기도 했지만, 이 역시 2010년 9월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와 당 대표자회 개최 이후 다양한 수준의 당 내 회의 체계가 작동하며 해결되어가는 모양새다.
    물론, 이러한 당·국가기구 지배기능 활성화가 곧 당과 인민 사이의 관계가안정화됐음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요컨대 ‘지배구조의 안정성’과 ‘지배의 안정성’은 별개 문제다. 현재 시점에서 조선노동당이 ‘지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가장 효과적인 길은 분산형 지배구조 정착에도 불구하고 계속되고 있는 체제위기를 극복하는 길이다. 체제위기 극복 성패는 많은 부분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성패에 달려 있다.

    영어초록

    As North Korean society entered into a system crisis due to the post-Cold War, changes in the political structure were inevitable. The power within the party is concentrated on one person (the leader), and the power structure in which this one person dominated both the state and the military remains unchanged. However, the Korean Workers’ Party tried to reform the governance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crisis. Therefore, to read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tructure of North Korean society after the post-Cold Wa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governance structure rather than the power structure. In this article, the contents of the changes in the governance structure were interpreted using the remarks of one powerful person in the party and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s made nine times since 1992 to the present.
    The core of the reform of the governance structure promoted by the Korean Workers’ Party is the transition to a decentralized governance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activation of the governance function of state institutions. This was followed by Kim Il-sung-Kim Jong-il’s Central People’s Committee-Defense Committee-Political Officer role division system, Kim Jong-il’s Defense Committee-Supreme People’s Assembly standing committee-Cabinet role division system, and since 2016 the State Affairs Committee Supreme People’s Assembly Standing Committee-Cabinet role division. As the system was established, the settlement stage was reached. In the face of the deepening of the system crisis, the governing function of the Party institutions was relatively degraded compared to that of the state institutions.
    However, after the Plenary Meeting of the Party Central Committee and the Party Representatives’ Meeting were held in September 2010, various levels of intra-party meetings were in operation. It’s going to be resolved.
    Of course, this revitalization of party-state governance does not mea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y and the people has stabilized. At this point, the most effective way for the Korean Workers’ Party to secure “governance stability” is to overcome the ongoing system crisis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decentralized governance structure. The success or failure of overcoming the regime crisis largely depend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negotiations on denuclearization with the United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북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