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우진 「이영녀」의 탈식민성 연구 (Postcoloniality of Kim U-jin's Literature in Light of Resistance and Appropri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1.03
28P 미리보기
김우진 「이영녀」의 탈식민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4호 / 297 ~ 324페이지
    · 저자명 : 배지연

    초록

    이 글은 김우진이 서구문학을 적극적으로 조선에 소개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김우진 문학의 탈식민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 문화에 직접적 저항의 메시지를 표출했던 동시에, 서구문학의 수용을 ‘모방’과 ‘비판’으로 보았던 김우진의 문학이 탈식민적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글은 탈식민주의 이론의 중핵에 해당하는 ‘저항’과 ‘전유’의 측면에서 그의 문학을 분석하고자 한다.
    김우진은 당시 조선에 성행했던 일본식 신극(신파극)을 강하게 비판하며 서구 근대극을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평론을 통해 일본문화를 비판하면서 ‘일본식’ 지식인들을 비난하고 있다. 일본문화에 동일화된 그들을 통해 창작된 문학과 신파극이 ‘속중’을 양산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의 희곡 「이영녀」는 식민제국의 이데올로기에 동화된 주체들을 비판함으로써 일본제국에 대한 저항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렇듯 그는 일본문화 및 식민제국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동일화의 기제로 서구문학을 수용하였다.
    또 김우진은 서구 근대극을 전유한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조선 근대극 수립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구 근대문명을 폐해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서구 근대와 변별되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재현하고자 했다. 그는 탈식민적 전유가 차용한 작품과 다른 의미를 생산하여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드러내는 방식이라고 볼 때, 「이영녀」는 자신이 번역한 버나드 쇼의 「워렌부인의 직업」의 변용을 통해 차이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서구 근대가 지닌 자본주의의 속악성이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이르러 더욱 모순과 폭력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김우진은 식민주체인 일본의 문화와 그에 동화되는 지식인과 속중을 비판하였다. 그는 서구문학을 통해 식민주체인 일본문화에 저항하고, 조선 근대문학의 수립을 모색하였다. 자신의 희곡을 창작하면서 서구문학을 전유했고, 서구(문학)와의 비동일화를 통해 탈중심적이고 복수적이며 다층적인 경험의 공간으로 끌어들였다. 이렇게 볼 때, 김우진은 서구문학의 단순한 모방이나 복사를 넘어서 차이와 저항을 보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aims to consider post-colonial significance in Kim U-jin's literature with paying attention to a fact that Kim U-jin positively introduced western literature to Joseon. The aim is to closely examine that Kim U-jin's literature, which had regarded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as 'imitation' and 'criticism' as well as having expressed message of direct resistance to Japanese literature, has enough post-colonial possibilit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 U-jin's literature in the aspect of 'resistance' and 'appropri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central core of post-colonial theory.
    Kim U-jin introduced western modern theater with strongly criticizing Japanese-styled Shingeuk(Shinpageuk), which had been prevalent in Joseon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Kim U-jin is criticizing 'Japanese-styled' intellects who had entered after passing through Japan, while obviously criticizing on Japanese culture through critique. He saw that literature and Shinpageuk(신파극), which had been created through them as those who were identified into Japanese culture, are mass-producing 'Sokjung(俗衆: the common).' In addition, his drama <Iyeongnyeo(李永女)> criticizes the main subjects, which were assimilated with ideology of colonial empire, thereby containing message of resistance to Japanese colonial empire. In this way, Kim U-jin aimed to accept western literature as mechanism of anti-identification on Japanese culture and ideology of colonial empire.
    Also, Kim U-jin sought for establishing modern theater of Joseon by creating a work with appropriation of the western modern theater, simultaneously with introducing and researching into western modern literature. In this process, he positively informed of the harmful effect in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tried to revive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which is discriminated from the western modern. When seeing it as a method of revealing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 by producing a meaning different from the work that post-colonial appropriation borrowed, <Iyeongnyeo(李永女)> can be known to reveal its difference through transforming Bernard Shaw's <Mrs. Warren's Job> that was translated by himself. This difference is suggesting that Sokakseong(俗惡性) of capitalism, which is possessed by the western modern, is revealing more inconsistency and violent characteristic with reaching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Kim U-jin criticized Japanese culture, which is the colonial entity, and intellect and the common that are assimilated with it. He resisted Japanese culture, which is the colonial entity through the western literature, and further pursued establishment of modern literature in Joseon. He appropriated western literature while creating drama, and brings it to the space that is happened de-central, plural, and multi-layered experience, through non-identification with the West(literature). Seeing in this way, Kim U-jin can be said to have shown the difference and resistance beyond simple imitation or reproduction by accepting wester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