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서인지기능이 탈화제 발언(脫話題 發言; off-topic speech)에 미치는 효과 (A Role of Emotion Recognition in Off-Topic Speech)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3.09
23P 미리보기
정서인지기능이 탈화제 발언(脫話題 發言; off-topic speech)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26권 / 3호 / 47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영경, 진영선

    초록

    본 연구는 정서인지기능이 탈화제 발언(脫話題 發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탈화제 발언(OTS: Off-Topic Speech)이란 화제에서 벗어나는 이야기를 말하는 것으로, 이야기의 초점이 맞지 않고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 그 특성이다. OTS가 노년기에 자주 발견되는 원인은 주로 억제결함가설과 실용적 변화가설로 설명되어 왔으나, 연구결과는 일관되지 않거나 또 다른 원인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 장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노화에 따라 감퇴하는 얼굴 및 언어적 정서인지기능이 OTS 발생의 관련요인일 수 있음을 가정하여, 선행연구에서 검증대상이었던 억제기능, 일반지능, 사회기능과 함께 연령차를 살펴보고, 제 기능이 OTS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노인은 청년에 비해 억제기능, 정서인지기능, 일반지능이 저조하였으며, 노인의 감퇴한 얼굴정서 인지기능은 연령과 더불어 OTS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본 연구 결과의 함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영어초록

    Off-Topic Speech (OTS) refers to speech that may start with a particular topic but quickly becomes prolonged, unconstrained, and irrelevant to that topic. Key determinants of OTS are lack of focus and lack of coherence. Inhibitory deficits and pragmatic changes in communicative goals have been proposed as causes for age-linked O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OTS might be related to a difficulty in decoding emotional states from facial expressions and lexical stimuli. Participants were 69 younger (18-27 years; M = 21.75, 34 male & 35 female) and 68 older (63-86 years; M = 72.22, 33 male & 35 female) adul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ognize emotions expressed either facially or lexically, then tell stories about 4 topics. They were also asked to test inhibition ability, crystallized intelligence, fluid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s were less accurate in recognizing facial and lexical emotion as compared to younger adults for all basic emotions, including happiness, fear, anger, disgust, sadness, and surprise. Older adults’ OTS levels were higher than those of younger adults. The facial recognition ability and age were related to OTS, and these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TS among older ad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clining emotion recognition ability along with inhibitory deficits may be another cognitive determinant of O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