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팩트체킹 인공지능 기술과 사실성의 역학 : 현장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 분석 (Artificial Intelligence Fact-Checking Technology and the Dynamics of Factuality : An In-depth Interview Analysis of Field Participant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08
34P 미리보기
팩트체킹 인공지능 기술과 사실성의 역학 : 현장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4호 / 238 ~ 271페이지
    · 저자명 : 박소영, 이정현

    초록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잘못되거나 왜곡된 정보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빠르게 유통, 소비되면서 ‘팩트체킹(fact-checking, 사실 확인)’이 대응책으로 주목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팩트체크 전문기관이 등장했고 팩트체크 관행을 뉴스 생산 현장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언론사 수도 증가해왔으며,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팩트체킹을 자동화하려는 시도가 발전해 왔다. 하지만 정작 국내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 개발의 필요성, 한계, 전망, 방향성 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는 사회적 담론으로 충분히 생산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이에 문제 의식을 갖고 팩트체크 현장에의 참여 경험이 있는 이해관계자를 인터뷰함으로써 국내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팩트체크 기술의 현황, 과제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다. 국내 팩트체크 전문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7인의 주요 이해관계자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고, 한국형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팩트체킹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부기관의 기술개발 지원 현황과 학계 발표 연구 등을 현상 분석했다. 연구 결과, 현재 한국형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은 국가적 차원의 연구지원이 소모적 정쟁 속에서 정치적으로 변질되고, 양질의 한글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비우호적인 연구환경 속에서 연구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음이 드러났다. 현장 참여자들은 팩트체킹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역할과 범위에 대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합의점을 찾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치와 맥락 정보가 내재된 사회적 해석의 영역인 팩트체킹에 내재된 본질적인 주관성과 정치성을 감안해 기술 개발 과정에 사회적 합의가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팩트체크 생태계 내에서 실제 활동 중인 참여자들의 시각을 사회적 담론으로 재구성하는 데 일조하고, 다양한 행위자의 지형도 안에서 한국형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인공지능 기반 팩트체크 기술 개발 과정과 시행착오를 기술사의 일부로 기록하여 남기고, 사회적 숙의 과정을 거친 인공지능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영어초록

    ‘Fact-check’ has drawn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nd rapidly distribu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response, the number of fact-checking organizations as well as news outlets that try to emphasize fact-checking practices in the news production process has also increased in Korea. Since the late 2010s, attempts to automate fact-chec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have developed with government-backed financial support. However, up to date, the social discourse on the necessity, limitations, prospects, and direction of AI-based fact-checking technologies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Facing this issu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prospects of national AI fact-checking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takehold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two representative fact-check institute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government policy documents and published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Korean AI fact-checking technology is currently stuck in an unfriendly research environment, including a lack of national research support and a lack of high-quality Korean data, which has turned into a politicized debate. Participants also emphasized that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find consensus among various stakeholders on the role and scope of AI in the fact-checking process.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factcheck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 should be accompanied by a mature social discourse given the subjectivity and politics inherent in fact-checking, a domain of social interpretation with embedded values and contextual inform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xplore alternative governance systems to ensure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of fact-checking, and calls for self-reflection by all members of society to establish the fact-checking process as a virtuous cycle. This means that we all need to establish the correct perception of what constitutes a "fact," implement appropriate practices in the actual fact-checking process, and most importantly, respect and accept the fact-checking results presented without being bound by partisanship to further solidify the socio-cognitive foundation for a healthy social debate. All in 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restructuring the sociotechnical discourse within the topography of various actors in the realm of the fact-checking ecosystem, thereby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AI fact-checking technologies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ocumen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rial and error of national AI-based fact-checking technology and raises the issue of overly politicized or blindly focused development of AI fact-checking research and regulation in Korea without mature social de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