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토킹(Stalking)범죄의 행위유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s of behaviors of stalking crim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3
28P 미리보기
스토킹(Stalking)범죄의 행위유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찰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경찰연구 / 21권 / 1호 / 27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식, 조수정

    초록

    2021년 10월 21일 부터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되었다. 오랜 논의 끝에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시행되기 전부터 입법 내용과 방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특히, 스토킹범죄의 규제 대상으로 어떤 행위유형들을 포함 시키느냐는 매우 민감한 문제였다. 규정 방식에 따라 지나치게 피해자 보호를 소홀이하여 피해자들의 법적 호소 의지를 꺾어 법규정의 형해화(形骸化)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스토킹을 범죄화 하고 있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법령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스토킹처벌법 개선방안을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한다.
    우선, 현행 법률은 스토킹 행위 객체의 범위를 협소하게 제한함으로써 법적 사각지대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현행 스토킹처벌법의 객체를 확대하여 ‘기타 상대방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우리나라 스토킹처벌법은 행위 유형을 규정함에 있어 제한적 열거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스토킹범죄의 경우 피해자 중심적인 구성요건 해석, 스토킹행위의 가변성 및 다양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독일과 같이 포괄적 구성요건 조항으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법 규정 방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스토킹행위로 인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구성요건적 결과의 확장적 의미를 명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불안감, 공포심, 두려움 등과 함께 ‘일상생활의 평온을 해치는 정신적·정서적 고통’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Anti-Stalking Law of South Korea came into force on October 21, 2021. Although the law was enacted after a long discussion, a lot of criticism is being raised about the contents and method of legislation. In particular, what types of behavior are included in the regulation of stalking crimes is a very sensitive issue. Depending on the method of regul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law does not provide sufficient protection for victims and it may lead to the deterrence of the victims’ will to make legal appeals resulting in making the Anti-Stalking Law meaningless.
    First, it is highly likely for the current Anti-Stalking Law to create legal blind spots by narrowly limiting the scope of stalking targets. At present, only five types of behaviors can be those of stalking under the law. Therefore, it is proposed to expand the object of the current law to “people who are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victim”.
    Second, the Korean Anti-Stalking Law considers only limited types of behavior as stalk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ictim-centered interpretation of constituent elements of crime and the variability and diversity of stalking behavior. A more comprehensive law requires flexibility when regulating stalking behaviors, similar to a comprehensive constituent clause like Germany.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fficulties of victims’ daily life due to stalking behavior and protect them, it is desirable to stipulate clearly the extended meaning of the results of stalking.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o include “mental and emotional distress that can harm the tranquility of daily life” along with f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경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