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토킹 범죄 피해 실태와 피해자 보호 및 지원방안 - 스토킹 피해 조사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States of Stalking Crime Damage and Measures to Protect and Support its Victims - Centering on the Investigation of the Damages to Stalking Victims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07
20P 미리보기
스토킹 범죄 피해 실태와 피해자 보호 및 지원방안 - 스토킹 피해 조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23호 / 67 ~ 86페이지
    · 저자명 : 이해담, 김지현

    초록

    2021년 10월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여전히 스토킹 범죄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스토킹 피해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스토킹 범죄 피해 경험’ 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존에 다루지 못했던 스토킹 범죄 피해자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과 예방 전략 그리고 스토킹 범죄 피해 이후 개입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디지털 성범죄 및 온·오프라인 스토킹 범죄 피해 경험 조사」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스토킹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425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스토킹 피해 경험, 피해 이후의 대처방법 및 고통, 피해 경험 당시 필요했던 도움 등에 대한 응답을 통해 스토킹 피해가 가지는 복합성과 지원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스토킹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425명 중 12개의 피해 문항에 대하여 1명당 3개 이상의 중복된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킹 가해자는 주로 연인 또는 배우자 등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였으며, 피해자의 대부분이 일회성이 아닌 1주일 이상 지속되는 피해를 경험하고 있었다. 스토킹 피해를 경험하였을 때 피해자의 대부분은 가해자에게 직접 사과를 요구하거나 가족, 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등 개인적인 대응을 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스토킹 피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은 불안 및 우울, 적대감이나 분노 등이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수면의 어려움, 위장 및 섭식 장애 등의 신체화된 트라우마로도 표현되었다. 또한 스토킹 피해는 일상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혼자 다니기 무섭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스토킹 피해자의 신고부터 피해자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이어지는 원스톱지원 체계 구축을 제언하였다. 스토킹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설치를 통해 경찰 신고 이후 안전조치가 이뤄진 피해자를 대상으로 상담, 심리치료, 법률지원, 사례관리까지 이뤄지는 통합적인 지원을 통해 스토킹 재 피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토킹 피해는 초기대응이 중요한 만큼 스토킹 피해자의 위험 정도에 따라 피해자별 안전대책 수립을 통해 보호시설 입소, 이주비 지원, 민간경호 서비스 연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토킹 피해의 특성을 고려한 사례관리 시스템 도입과 트라우마 심리치료 지원을 통해 피해자가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Since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has been promulgated in October, 2021, the stalking crimes have been considered as a social problem, but the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s of stalking crimes and the measures to protect and support its victims has not been conducted adequate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measures to support and prevent the victims of stalking crimes, which have not been supported, and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victim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victims who suffered from stalking crimes.
    For this study, from the Survey on the Experiences of the damages resulted from the Digital Sexual Crimes and On-and Off-line Stalking Crimes in 2022, the data of 425 respondents with the experiences who suffered from off-line stalking were utiliz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5.0. The complexity in the experiences of victims who suffered from being stalked and their needs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s such as the experiences of damages caused by being stalked, the ways to deal with the damages and the distress and the necessary helps when they were being stalk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 the 425 respondents who has experiences to be stalked answer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3 kinds of damages among all the 12 damages that were shown on the questionnaire. Stalking was likely to happen in the intimate relationships including spouses or persons who are romantically involved with and most of victims reported that stalking they had experienced lasted one week or over, not just one time. Victims were likely to deal with the stalking in the personal level including demanding an apology to the stalker in person or asking family members or friends for help. The mental distress of victims caused by stalking was led to anxiety, depression, hostility and angers resulting in difficulty in sleeping,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which may be the somatic symptoms due to the trauma. Furthermore, the stalking gave the negative effects on the victims’ daily life such as the fears to meet new people and walk around al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one-stop service system from reporting the stalking to supporting victims should be established. Furthermore, it was also suggested to install the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stalking victims providing a one-stop service including psychological therapy, legal support and case management. Given the importance of initial responses to stalking, it was indicated that the services should be associated with admission to the shelter, aid of moving expense, and introduction of private security service. Finally the services to help victims regain their daily life such as the case management system and the support for the psychological therapy to treat the victims’ trauma have been also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