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역대 정부별 연구동향 분석: KCI 학술지를 중심으로 (ABSTRACT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Successive Governments Relating to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KCI Journal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03
27P 미리보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역대 정부별 연구동향 분석: KCI 학술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5호 / 583 ~ 609페이지
    · 저자명 : 김병만, 이강훈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역대 정부별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유아안전교육의 방향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제공하는 KCI 학술지 D/B를 활용하여 ‘유아안전교육’을 키워드로rawDATA를 수집하였다. 1⋅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1-mode 매트릭스 데이터셋을 작성하고, 전체 및 역대 정부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은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교육내용 및 방법’, ‘학문적 관심’ 관련 요인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역대 정부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1기(2003-2007)에는 ‘실외놀이시설’, ‘응급처치’, 2기(2008-2012)에는 ‘인터넷’, ‘이야기’, ‘리터러시’, 3기(2013-2016)에는 ‘사물인터넷’, ‘그림책’, ‘스마트’, ‘스마트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4기(2017-2021)에는 ‘디지털’, ‘놀이’, ‘미세먼지’, ‘재난안전’, ‘영양교육’, ‘개인정보’, ‘원격교육’, ‘온라인’, ‘플립러닝’, ‘애니메이션’, ‘델파이’, ‘메타분석’, ‘네트워크’, ‘디바이스’, ‘빅데이터’가 각각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안전교육 관련 핵심 키워드에 대한 역대 정부별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사’, ‘영유아’, ‘학부모’, ‘유치원’, ‘안전지식’, ‘안전사고’, ‘안전태도’는 1기부터 4기에 이르기까지 점차 증가한 반면, ‘실외놀이터’, ‘통학버스’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유아안전교육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교육내용 및 방법’, ‘학문적 관심’을 적절히 반영하여, 유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 이웃,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for alpha generation by analyzing the keyword network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rawDATA was collected with keywords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were used based on KCI journals D/B provided by Korea Citation Index. Based on the data that finished the primary and secondary purification process, 1-mode matrix datasets were created, an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ntire and successive govern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could be extracted as the related factors of ‘human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education content & methods’ and ‘academic intere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each government on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outdoor play facility’, ‘first aid’ in the 1st period(2003-2007), ‘internet’, ‘story’, ‘literacy’ in the 2nd period(2008-2012), ‘IOT’, ‘picture book’, ‘smart’, ‘smart device’, ‘wearable’, ‘device’ in the 3rd period(2013-2016), and ‘digital’, ‘paly’, ‘fine dust’, ‘disaster safety’, ‘nutrition education’, ‘personal information’, ‘distance education’, ‘online’, ‘flip learning’, ‘animation’, ‘delphi’, ‘meta analysis’, ‘network’, ‘device’, ‘big data’ in the 4th period appeared(2017-2021) as key keywords, respectivel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key keywor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by each government, ‘teacher’, ‘infant’, ‘parent’, ‘kindergarten’, ‘safety knowledge’, ‘safety accident’, ‘safety attitude’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1st to 4th period, while ‘outdoor playground’ and ‘school bus’ gradually decreas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that can provide practical help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need to be conducted. Therefore, the researchers appropriately reflect ‘human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education content and methods’, and ‘academic interest’, and through organic cooperation between you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neighbors, and related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