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관련 국내연구의 키워드 의미네트워크 분석 (Keywords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Music Therapy for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2.12
26P 미리보기
지적·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관련 국내연구의 키워드 의미네트워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23권 / 4호 / 57 ~ 82페이지
    · 저자명 : 이지경, 강이화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지적·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국내연구의 핵심어를 살펴보고, 키워드 간의 의미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그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00년부터 2022년 사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와 등재후보학술지에 지적·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음악치료를 연구주제로 발행된 논문 197편에서 238종 86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과거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에 제시된 핵심어의 출현 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UCINET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과 중심성, 에고네트워크를 분석한 후 NetDraw로 시각화했다. [결과] 지적·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에는 “음악치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청소년”, “지적장애 아동·청소년”, “사회성기술”, “그룹음악치료”,“의사소통기술”, “문제행동” 등의 키워드가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전체 네트워크에 68개의 노드가 926개의 링크로 연결되고 밀도가 0.2로 산출되었다. 또한 “음악치료”,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청소년”, “지적장애 아동·청소년”, “사회성기술”, “노래활동”등의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은 핵심어였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아동·청소년” 에고네트워크는 “노래활동”, “사회성 기술”, “음악중재”, “주의집중력”, “어휘력”이 연결강도가 높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청소년”에고네트워크는“사회성기술”, “상동행동”, “언어장애”, “의사소통 기술”,“문제행동”이 연결강도가 높았으며, “음악치료”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청소년”, “사회성기술”, “음악교육”, “음악중재”와 강한 연결을 보였다. [결론] 이 연구는 과거의 지적·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키워드의 구조를 파악하여 과거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음악치료 연구의 후속 연구에 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eywords of domestic research on music therapy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nd to clarify the structure by analyzing the semantic network between keywords. [Method] A total of 866 keywords of 238 types were extracted from 197 papers published on the subject of music therapy for ID and ASD in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2. To examine past research trends,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keyword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was calculated. By utilizing a UCINET6 program, NetDraw was visualize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centrality, and ego networks. [Results] In the ID literature, keywords such as "music therapy,'' "child/adolescent with ASD,'' "child/adolescent with ID,'' "social skills,'' "group music therapy,''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atic behavior'' were frequently used. In the ASD literature, keywords such as "music therapy,'' "child/adolescent with ASD,'' "child/adolescent with ID,'' "social skills,'' "group music therapy,''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atic behavior'' were frequently used. The network had 68 nodes connected by 926 links, and the density was 0.2. In addition, keywords such as "music therapy,'' "child/youth with ASD,'' "child/youth with ID,'' "social skills,'' and "singing activity'' displayed high centrality. In the ego network of "child/adolescent with ID,'' "singing activity,'' "social skills,'' "music interventio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vocabulary ability''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In the "child/adolescent with ASD'' ego network, "social skills,'' "stereotyped behaviors,'' "language disorder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atic behaviors''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Music therapy'' showed a strong connection with "child/adolescent with ASD,'' "social skills,'' "music education,'' and "music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e of keywords that were important in music therapy research for ID and ASD in the past, and grasped the trends of past research.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of comprehensive music therapy studies a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