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영향성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12
55P 미리보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영향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인공지능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공지능인문학연구 / 15권 / 9 ~ 63페이지
    · 저자명 : 최지현, 황서이, 이유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인문학’의 연구 동 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인공지능인문학은 단순히 인공지능과 인문학의 융합이 아니 다. 인문학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시대를 해석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를 분석하고자 하는 융합적 학문 분야이다. 인공지능인문학을 시작하고 연구해 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구성원의 연구 성과 중심으로 그 성과들을 인용한 논 문과의 관계 속에서 연구 영향성을 파악하고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공지능인문학의 5개 연구영역인 관계소통학, 기술비평학, 데이터해석학, 사회문화 학, 윤리규범학에 교육학 분야를 추가하여 총 6개 연구영역에서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한 결과 관계소통학에서는 ‘메타버스, AI, 교육, 가상, 공공언어, 한국어’가, 기술 비평학에서는 ‘AI, 포스트휴먼, 디지털, 교육, 기술, 로봇’이, 데이터해석학에서는 ‘AI, machine learning, 교육, 텍스트 마이닝, 빅데이터, 언어 네트워크’가 상위빈도 어휘 로 확인되었다. 사회문화학에서는 ‘AI, 디지털, 인문학, 교육, 역사, 디지털인문학’이, 윤리규범학에서는 ‘AI, 윤리, 로봇, 도덕, 기술, 교육’이, 교육학에서는 ‘AI, 교육, 리 터러시, 교양교육, literacy, education’이 상위빈도 어휘로 추출되었다.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인문학의 현재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였다. 6년이라는 기 간이 학문의 정착과 발전에 긴 시간은 아니지만 신생 학문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인문학은 더이상 기술 과동떨어진상태로이해될수없고, 인간과기계의경계에대한근원적물음을 던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서 기술, 그리고 융합의 방법을 더욱 적극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 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현재는 미래를 고민하고 계 획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re not simply a fu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ities. It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study that seeks to interpret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and to analyze socie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members of the Chung-Ang University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who started and studied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search impact on the relationship with papers citing these achievements. As a result of extracting high-frequency vocabulary from a total of six research areas by adding the field of ‘pedagogy’ to the five research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which are ‘relational communication, technology criticism, data analysis, socio-cultural studies, and ethical norms’. ‘Metaverse, AI, education, virtual, public language, and Korean’ were extracted in ‘relational communication studies’. In ‘technology criticism’ area, ‘AI, posthuman, digital, education, technology, and robot’, and in ‘data analysis’ area, ‘AI, machine learning, education, text mining, big data, and language network’ were identified as a high-frequency vocabulary. In ‘socio-cultural studies’, there are ‘AI,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history, and digital humanities’, in ‘ethical norms’, ‘AI, ethics, robots, morality, technology, and education’ were, and in ‘pedagogy’, ‘AI, education, literacy, and liberal arts education’ were respectively extracted as a high-frequency vocabulary.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lthough six years is not a long time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n academic discipline, it is meaningful because it confirms the position of a new academic discipline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umanities can no longer be understood as separate from technology; at this point in time,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being asked about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fforts are needed to more actively understand technology and convergence methods to protect human dignity and explore ways to build a healthy society. Thus, the current st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research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thinking and pla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공지능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