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구조적 특징의 분석을 통한 현대정치영화적 함의 : 들뢰즈의 ‘이야기 꾸며대기’ 개념과 ‘집단적 발화의 배치’ 개념을 중심으로 (The Modern Political Cinematic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Features in Mysterious Object at Noon by Apichatpong Weerasethakul -Centering on Deleuzian concept of ‘fabulation’ and ‘asse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0.11
31P 미리보기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lt;정오의 낯선 물체&gt;의 구조적 특징의 분석을 통한 현대정치영화적 함의 : 들뢰즈의 ‘이야기 꾸며대기’ 개념과 ‘집단적 발화의 배치’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7호 / 11 ~ 41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초록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첫 번째 장편 영화 <정오의 낯선 물체>는 픽션도 다큐멘터리도 아닌 매우 독특한 형식과 구조를 보여주는 영화이다. 초현실주의자들의‘우아한 시체’ 놀이의 개념에서 출발했다고 알려져 있는 이 영화의 구조적 특징은그 출발점으로 기능했던 방법론의 한계와 범위를 뛰어넘는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 영화의 구조적 특징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아한 시체’ 개념을 어떻게 뛰어 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초현실적주의의 방법론을 뛰어넘는 가장 중요한 지점은 허구와 실재 사이의 구분의 무화 지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여기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실재/허구, 인물/시네아스트의 경계와 자기동일성을 넘나들며 자유간접적인 상태로 들어간다. 자유간접적인 상태란 결국 인물들과 작가가 끊임없이 서로에게로 다가감으로써, 이전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타자’가 되는 생성을 의미한다. 이생성에 붙들어 매어져 있는 것은 실제 인물들의 ‘이전’과 ‘이후’의 시간이며, 그들의삶의 ‘이전’과 ‘이후’의 시간들이, 사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그리고 개인적인 것과집단적인 것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막 혹은 경계에서 이중적인 생성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 이중적 생성은 그냥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작가라는 ‘중계자’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화 작가는 이 모든 경계들을 넘나드는 생성을작동시키고, 실제 인물들의 삶과 그들이 꾸며낸 언표들의 생성을 배치함으로써 자신의 영화적 전략을 수행한다.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은 이러한 영화적 전략 속에서자신의 역할을 비인칭적으로 탈인격화시키고 있으며, 그러한 탈인격화라는 조건에서만 집단적 언표의 배치가 가능함을 인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오의 낯선물체>에서 아피찻퐁은 집단적 언표의 배치를 통해 동질적 실체로 주어지지 않은민중의 생성을 꾀하고 있으며, 이는 고전적 정치 영화와는 매우 다른 미학적 형식들을 바탕으로 수행된다. 민중의 현재적 삶의 모습과 꾸며낸 이야기들을 통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아피찻퐁은 영화라는 매체가 과연 미학적으로 어느 지점까지 변화가능한 것인지를 탐구하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아피찻퐁에게 현대 영화의 다양한 실천적 전략들을 통한 미학적 탐구는 동시에 정치적인 실험으로서의 함의를획득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지구상에서 미학적으로 가장 멀리 나간 영화 감독중의 하나라는 아피찻퐁에 대한 평가는 미학적으로 가장 멀리 나감으로써 정치적으로도 멀리 나간 영화 감독 중의 하나라는 평가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ysterious object at Noon is the first feature film of Apichatpong Weerasethakul, which shows very unique form and structure of the film that is not fiction nor documentary. The structural feature of this film, which is known as being started from the surrealistic concept of ‘Exquisite Corpse’, surpass the limit and range of surrealistic methodology. In this context, I will take this analysis as my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in this paper;this analysis that will show how the structural feature of this film surpass the surrealistic methodology of ‘Exquisite Corpse’. The important moment that can surpass the surrealistic methodology would be the indiscernability of the real and the fiction. Anyway,Mysterious object at Noon goes beyond this indiscernable moment, it achives the very special form of a ‘free indirect discourse which crosses and transcends the frontier and the identity of reality/fiction, character/cineast. A free indirect discoursive state means ‘becoming another’, which is acomplished by characters and cineast who are going over crossings and frontiers each other and transforming from ‘before’ state to ‘after’ state. These ‘before’ and ‘after’ time of real characters attache to the ‘becoming’, the double becoming is acomplished in a membrane in which immediate contact of the ‘before’ and ‘after’ time, the political and the private, the collective and the individual. Of course, the double becoming is not the given automatically, it is achieved by the author/cineast, who is ‘intercessors’. Therefore cineast carry out his/her cinematic strategies by activating becomings that go over crossings, by constituting assemblages of the lives and fictive utterances of the real characters.
    Apichatpong Weerasethakul seems to be a cineast who depersonalizes apersonally his own role and knows the assemblage of the collective utterances is possible only under condition of depersonalization. In Mysterious object at Noon, Apichatpong Weerasethakul seems to make an attempt on ‘becoming people’ who are not given as homogeneous entity by constituting the assemblage of the collective utterances. Futhermore, his attempt is performed by aesthetic forms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lassical political cinema. He seems to explore to what extent cinema could be chageable aesthetically through various experiments of modern lives of people and their invented stories. However, It is the important point that his aesthetic exploration through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of modern cinema also implies political experimental exploration. The appraisal that he is presently one of the extremest film director on Earth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should be modified into the another appraisal that he is one of the extremest film director on Earth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as well as political point of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