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쿠가와(德川) 일본의 민사재판 (The Civil Trial in Tokugawa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7.10
29P 미리보기
토쿠가와(德川) 일본의 민사재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56호 / 57 ~ 85페이지
    · 저자명 : 오오히라 유우이치

    초록

    토쿠가와 일본에서 다이칸(代官)은 막부의 지방관으로서 관할 내의 민사․형사사건을 심리했다. 다이칸에게는 판결 결정권이 없기 때문에 심리가 종결되면 판결 원안을 작성하여 상급기관에 품신한다. 상급기관의 지령에 기초하여 판결 선고를 행하고 당사자로부터 수락서를제출토록 하여 판결은 종료된다. 재판에서는 나이사이(內濟)-제삼자의 중개에 의한 분쟁해결-가 중시되었는데, 심리 중에 나이사이를 권유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 배경 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생각되지만, 支配者의 裁判觀 문제도 고려함이 좋을 듯하다. 토쿠가와 일본의 민사재판은 무료였고, 소송수수료라는 관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민사재판은 지배자가무상으로 행하는 시혜적 행위에 다름 아니었다. 그 때문에 인민의 소가 반드시 재판소에 수리되어 심리된다는 보장은 없었다. 나이사이가 많이 이용된 배경에는 이와 같은 지배자의 재판관의 영향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재판을 할 때 판단의 규준이 된 것으로는 법령, 법전, 시키타리(仕來), 선례(판례), 중앙의 각종 기관의 처결, 조리 등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실정적인 법규나 선례로 처리할 수 없는 사안의 해결에는 ‘道理(條理)’가 큰 역할을 했다.
    토쿠가와 일본의 민사재판을 객관적인 규준이나 증거에 구속됨 없는 재판이라고 보는 견해는 토쿠가와 일본의 法과 國制의 원리적 측면을 지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재판을 둘러싼이와 같은 상황은 이윽고 변화되어, 판례집, 법전의 편찬, 법령이나 중앙의 각종 재판기관의처결의 집적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재판관은 이것들을 재판의 규준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에서 말한 원리적 측면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시가 슈조(滋賀秀三) 교수는 청대 중국의 재판을 ‘敎諭的 調停’이라고 불렀다. 토쿠가와 일본의 재판은 판결에 대한 당사자의 동의(수락)를 얻어 재판을 종결시킨다는 점에서는 청대 중국과 마찬가지로 ‘調停的’이었다. 그러나 동의 없이 재판을 종결시킬 수 있는 점에서는 ‘裁判的’이었다. 왜 이렇게 되었는가에대해서는 국가권력의 존재양식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토쿠가와 막부는 법에 구속됨 없는 권력이라는 성격을 가지면서도 현실에서는 각종 법령, 법전, 선례 등에 의거한 재판을 전개해 갔다. 그러나 반드시 법의 기계적 적용에 의해서가아니라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해결을 선택함으로써 ‘형평’의 실현을 도모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In Tokugawa Shogunate, daikan, literally means lieutenant, was the local magistrate of the government. He had his own jurisdiction over civil and criminal cases occurred in his bailiwick. He tried those cases brought before him, but had no authority to decide. Instead, he should send his draft to the central officers for supervision. Naisai, literally means agreement-in-between, was a dispute resolution in the form of reconciliation mediated by a third party.
    The government gave it a position of most important and recommended way of dispute resolution. Indeed, both parties were even forced to rely on naisai outside of courtroom.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Most important one could be the image of civil dispute held by the government. It had another aspect as the suit economy from the governmental point of view as well. In Tokugawa Japan the court was free, without any fee. For, the civil pleas were theoretically treated as the grace of the ruler. Thus, the government had no obligation to receive every plea and make it the case in the court. I assume that this theory of ‘justice of grace’ was the greatest reason of the frequent use of naisai method among the people. They knew that stance of the government very well.
    However, the government treated no small number of civil cases in the court, in fact. Were there any rules or principles of law to bind when the officers made their drafts of decisions? Yes, in a sense. Although they were not strictly binding, drafts were written on the codes of law, customs, by laws, precedents, agreements among the high officers, and even the justice or the reason itself.
    “Dori”, literally means the course of reason, worked as an important fountain of justice. Thus, the view that the judges were not bound by law in Tokugawa Japan, could make sense in a way. Indeed, it can even be said as a pointing view. However, in course of time, situation has changed. Cases were accumulated, a kind of law-reports appeared, and the fundamental code of Kujikata-Osadamegaki, literally means modus for the suits in the court, was established. Those worked as the binding resources for the reasoning, although the theory, that the justice is “of grace” given by the ruler and gives no right to the people, was prevailing. It should prevail, because it was the fundamental basement of the law and constitution of Bakuhu regime.
    Professor Syuzo Shiga once called the civil trials of Ching era as a “didactic conciliation”. In Tokugawa Japan, the judges tried to make the parties to agree with the decisions. In that sense, the justice of Tokugawa Japan could be said as conciliatory as Ching. But the agreement or consent by the parties was not obligatory in Tokugawa Japan. Judges could order the parties to receive the judgement without any argument. So, we can say the civil justice of Tokugawa Japan was judicial, not conciliatory. I think we need to analyze further the reason for this from the constitutional aspect of the governmental power.
    Tokugawa Bakuhu or the Tokugawa Government kept the theory that the ruler and the power of the state was not under the law. Even so, the governmental officials, especially the judicial ones, always tried to keep up with so many fountains of law. However, as the end of the officials to do this were to consider the decisions not by the ‘strict law’ but by the ‘equity’, they had no need to be ‘bound’ by the resources for reasoning. I think this can be an answer to the question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