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지발달 이론에서 도덕발달 단계의 퇴행 문제 : 성인 도덕발달의 불연속성에 대한 콜버그의 해명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Regression in the Moral Development Stage in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 Focusing on Kohlberg's Explanation of the Discontinuity of Adult Moral Developmen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1.12
21P 미리보기
인지발달 이론에서 도덕발달 단계의 퇴행 문제 : 성인 도덕발달의 불연속성에 대한 콜버그의 해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성교육연구 / 6권 / 2호 / 23 ~ 43페이지
    · 저자명 : 김하연

    초록

    본 연구는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서 발견된 단계 퇴행 문제에 대한Kohlberg의 논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Kohlberg와그의 동료들의 논문 및 단행본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한 이론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계 퇴행 문제는 후기 청소년기에 5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 피험자들이 초기성인기에 일시적으로 도구적 상대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2단계로 퇴행한 후, 25세경 다시 가능한 가장 높은 단계로 회귀하는 사례를 의미한다. 이에 Kohlberg는초기 성인기에 발달의 불연속성이 있음을 인정하였지만, 이후 Erikson의 자아 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이 시기를 ‘정체성 혼란으로 인한 동요’의 시기로서, 구조 변화가 아닌 안정화로 특징짓는다. 그리고 퇴행을 보인 피험자들이 여전히 4단계및 5단계 사고를 잃지 않다가 다시 회귀한다는 점을 근거로,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시기를 과도기로 명명하며     단계를 도입한다. 이러한 성인 발달단계의 존재를 인정하며, 인습적 사고를 특징으로 하는 청소년기와 달리 원리화 사고를 특징으로 하는 성인기 발달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직무 경험과 역할 채택을 핵심으로 하는 사회적·도덕적 책임 경험을 요청한다. 본 연구에서는Kohlberg의 이러한 해명에 대하여 한계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평가를 시도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hlberg's argument on the problem of stage regression found in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For this p urp ose,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p ap ers and monograp hs of Kohlberg and his colleagues. The stage regression problem is that subjects who appear to have entered stage 5 in late adolescence (high school years) temporarily regress into stage 2 characterized by relativism in early adulthood (the sophomore year of college), and then return to themselves around the age of 25. This means a case of regression to the highest p ossible level. The results of analyzing Kohlberg's explanation and argumentation for this are as follows. He acknowledged that there was a discontinuity due to regression in early adult develop ment, but later, based on Erikson's theory of ego development, characterized this period as a period of 'agitation due to identity confusion', rather than structural transition, but stabilization. And based on the fact that subjects who showed regression still do not lose stage 4 and stage 5 thinking and then regress, this period of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s named a transition period and a stage     is introduced. And while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these adult developmental stages, we request social and moral resp onsibility exp eriences that focus on the job exp erience and role adop tion in order to lead adult develop ment characterized by p rincip led thinking, unlike adolescence characterized by conventional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성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