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상 성인의 정서어휘에 대한 AAC 그림상징과 SNS 이모티콘의 인식 연구 (Perception of the AAC Graphic Symbols and SNS Emoticons for Emotional Words in Normal Adult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6
9P 미리보기
정상 성인의 정서어휘에 대한 AAC 그림상징과 SNS 이모티콘의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25권 / 2호 / 334 ~ 342페이지
    · 저자명 : 이다은, 신상은

    초록

    배경 및 목적: 정서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타인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비록 보완대체의사소통 접근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정서를 나타낸 몇몇 그림상징들이 상용화되어 있으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이모티콘 또한 AAC 분야에서의 잠재적 효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외 AAC 그림상징인 PCS와 이화-AAC, 그리고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얼굴 표정중심과 얼굴 및 신체부위 표현 중심으로 구분하여 총 4가지 상징유형이 정서어휘를 이해하는 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명의 정상성인(평균 연령=25.91년, 표준편차=4.68)이 8개의 정서어휘(‘걱정되다’, ‘괜찮다’, ‘놀랍다’, ‘두렵다’, ‘부끄럽다’, ‘슬프다’, ‘행복하다’, ‘화나다’)에 대한 그림상징이름대기 과제에 참여하였다. 그림상징 또는 이모티콘 하나가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면 연구참가자는 그 의미를 주어진 단어 중에서 선택하였다. 연구참가자의 정확도 점수와 반응시간이 분석을 위해 측정되었다. 결과: 실험결과 얼굴과 신체부위의 표현을 통해 정서어휘를 표현한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이화-AAC 상징 조건에서 정확도 상의 높은 과제 수행이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반응속도면에서도 이들 조건에서 빠른 수행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높은 수행을 보인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이화-AAC 상징 간의 공통된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얼굴표정과 신체부위의 자세를 모두 사용하여 정서어휘를 표상할 경우,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자극물의 의미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인지처리 과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Objectives: Expressing emotional feelings is essential in one’s effective communication func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Although several emotional graphic symbols are available for AAC speakers, the usefulness of the emoticons provided by social network services needs to be identified for the potential of usage in the area of AAC.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wo types of AAC graphic symbols (PCS and Ewha-AAC), and two types of SNS emoticons (face expression-oriented and face & body-part expression oriented emoticons used in KakaoTalk). Methods: Thirty-two normal adults (mean age=25.91, SD=4.68) accomplished the symbol-naming task for the eight emotional words (‘worried’, ‘fine’, ‘surprised’, ‘fearful’, ‘angry’, ‘happy’, ‘sad’, and ‘shy’). After providing the visual stimuli on a computer scre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tch the meaning from the given word choices. Participants’ accuracy scores and response times were analyzed. Results: Higher task performance was found in the condition of KakaoTalk emoticon and Ewha-AAC symbols which represent the emotion by facial expression and body part motion. Likewise, a fast response was found in these two conditions. Conclusion: Consider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visual materials, the representation of both facial expression and body-part pose seems to facilitate participants’ cognitive process of retrieving the meaning of the visual stimuli in an accurate and fast fash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