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창의적 메타인지와 동기 및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잠재력의 조절효과: 컨템포러리 댄스의 관점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ity Potential on College Students' Creative Metacognition and its Relationship to Motivation and Creativity: A Contemporary Dance Perspectiv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4.11
22P 미리보기
대학생의 창의적 메타인지와 동기 및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잠재력의 조절효과: 컨템포러리 댄스의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22호 / 337 ~ 358페이지
    · 저자명 : 장혜주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동기 척도(Creativity Motivation Scale; Zhang et al., 2018)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창의성 동기가 창의적 메타인지와 창의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창의적 잠재력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검증하는 데 두었다.
    방법 연구 1은 국문으로 번안된 창의성 동기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124명의 무용학과 대학생(남학생=15명, 여학생=109명)에게 실시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및 내적 일관성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2는 국문판 창의성 동기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창의적 메타인지와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 동기와 창의적 잠재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무용학과 대학생 413명(남학생=53명, 여학생=360명)에게 실시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내적 일관성 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결과 연구 1에서 창의성 동기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1요인 9문항이 추출되었고, 총 분산의 58.04%를 차지하였다. 신뢰도는 ɑ=.905이었다. 연구 2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3요인 9문항의 측정모델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²= 122.29, df=24, p=.001, Q=5.09, TLI=.932, CFI=.955, RMSEA=.078). 내적 신뢰도는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Cronbach’s ɑ=.913, McDonald’s =.913). 회귀분석의 결과, 창의성 동기가 창의적 메타인지와 창의성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창의성 동기의 매개효과는 창의적 잠재력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결과는 컨템포러리 댄스의 관점에서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안무적 역량을 키우고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메타인지, 창의성 동기 및 창의적 잠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reativity Motivation Scale (Zhang et al., 2018) among college dance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f creativity motivation o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creative potential.
    Methods Study 1 was conducted with 124 undergraduate dance students (15 males, 109 females)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adapted creativity motiva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Study 2 was conducted on 413 dance majors (53 males, 360 female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reativity motivation scale an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motivation and creative potenti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Th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Study 1 resulted in a factor of 1 with 9 items extracted, accounting for 58.04% of the total variance. The reliability was ɑ=.905.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Study 2 indicated that the three-factor, nine-item measurement model was a good fit for the data. Internal reliability was very good (Cronbach's ɑ=.913, McDonald's =.913).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reativity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motivation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creative potential.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creative metacognition, creativity motivation, and creative potential is necessary to foster choreographic competence and promote creativity in contemporary dance among college dance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